뷰페이지

비운의 개발사업 ‘파이시티’ 새주인 찾을까

비운의 개발사업 ‘파이시티’ 새주인 찾을까

입력 2015-01-19 07:37
업데이트 2015-01-19 07: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파이시티에 간접투자했다가 손해를 본 개인투자자들에게 우리은행이 부실판매 피해를 배상키로 한 가운데 좌초한 거대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가 다시 일어설 수 있을지 관심을 끈다.

파이시티 사업은 총사업비만 2조4천억원대로 강남 노른자 땅에 위치한 국내 최대 복합유통단지 개발사업으로 여겨지며 기대를 모아왔다.

그러나 글로벌 금융위기의 파도를 넘지 못하고 쓰러진 데다 정권 실세가 개입한 인허가 로비사건 등 각종 비리로 얼룩지기도 했다.

채권단은 최근 부지 재매각에 나설 계획이어서 대규모 사업이 재개할 수 있을지 다시 이목이 쏠릴 전망이다.

◇’강남 노른자’ 요지 최대 프로젝트…금융위기 여파 좌초

파이시티 사업은 양재동 옛 화물터미널 9만6천㎡ 부지에 3조원을 투입해 오피스빌딩, 쇼핑몰, 물류시설 등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기획됐다.

당초 해당 지역은 수익성이 있는 사업지로 꼽혔으나 2009년 11월 건축인허가를 받는 데까지만 6년이라는 시간이 걸리며 사업 진행이 더뎠다.

이후 글로벌 금융위기에 부동산 경기침체까지 겹치면서 공사를 시작도 하지 못하고 사업 추진이 중단됐다.

이 과정에서 기존 시공사인 대우자동차판매와 성우종합건설이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에 들어가기도 했다.

건축허가를 받은 후에도 사업이 장기간 표류하면서 2013년 4월 1일 실시계획인가가, 7월 5일 건축허가가 차례로 취소되는 불운을 겪었다.

금융 면에서도 사업자금 마련을 위해 추진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금을 갚지 못해 과도한 차입금으로 ㈜파이시티와 ㈜파이랜드가 2011년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에 들어갔다.

2013년에는 인수·합병(M&A)을 추진하면서 신세계백화점, 롯데마트 등이 포함된 STS개발 컨소시엄과 약 4천억원에 인수합병(M&A) 본계약까지 체결했지만, 인허가 재인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결국 무산됐다.

◇정권실세 청탁비리 얼룩…개인투자자 피해까지

파이시티 사업은 금융권과 정·재계에도 적지 않은 파문을 낳은 프로젝트다.

우선 사업 인허가와 관련해 청탁을 받은 혐의로 이명박 정부 시절 정권 실세로 통하던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과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 등이 기소돼 실형을 선고받았다.

또 파이시티 투자 상품을 파는 과정에서 투자자들에게 불완전판매를 한 것이 드러나 우리은행 이순우 행장 등 임직원 20여명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징계를 받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개인투자자 피해 문제도 불거졌다.

우리은행은 2007년 8월 파이시티에 투자하는 펀드를 특정금전신탁에 편입해 투자자 1천459명에게 1천900억원어치 판매했다.

1년 반 만에 연 8% 수준의 수익률을 안정적으로 기대할 수 있다며 고객을 꾀었지만, 사업이 좌초하면서 7년이 넘도록 원금도 제대로 건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행히 우리은행이 원금의 40%를 배상하기로 분쟁조정에 합의하면서 개인투자자 피해 보상 문제는 어느 정도 일단락될 전망이다.

은행 측 배상과 향후 부지 매각에 따른 회수금, 이미 돌려받은 금액 등을 합하면 개인투자자는 원금의 최대 80%가량을 건질 것으로 보인다.

동양증권의 기업어음(CP) 불완전판매로 분쟁조정 절차에 따라 투자자들이 15∼50%를 배상받게 된 것보다 높은 회수율이다.

◇채권단 공개매각 재개 방침…대규모 부동산 딜 성사될까

한편 채권단이 파이시티 부지의 매각에 다시 나설 계획이어서 오랜 기간 표류했던 사업이 다시 활기를 띨지 관심을 끌고 있다.

우리은행 등 파이시티 채권단은 최근 매각 자문사를 선정하고 이르면 내달 공개매각 공고를 낼 예정이다.

파이시티 부지의 공시지가는 약 6천억원 수준이며, 시세는 최소 7천500억원이 될 것으로 채권단은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삼성동 한국전력 부지(약 7만9천㎡)보다도 넓은 파이시티 부지를 매입할 개발자가 나타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매각 가격도 2013년 STS개발 컨소시엄과 4천억원대의 인수합병 계약을 체결했던 점을 고려하면 채권단 기대보다 낮아질 수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인수 희망자가 나타난다 해도 다시 인허가를 받고 사업을 일정한 궤도에 올리기까지는 시간이 한참 걸릴 것”이라며 “대기업, 백화점 등이 매입을 확약하는 방식이 아니면 개발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