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전세시장은 비수기로 접어들면서 약보합세를 나타냈다. 서울 은평구 등 전셋값 강세를 보여온 지역에선 거래 부진으로 매물이 쌓이고 있으나 그동안 잠잠했던 강남구 대치동에선 오히려 전셋값이 오르는 기현상을 보이고 있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20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지난주 서울지역 전세시장에선 은평·노원·중랑·성동·양천구 등의 전셋값이 하락했다. 은평구는 진관동 상림마을6단지 푸르지오(168㎡)가 2억 6000만~3억원으로 1000만원가량 내렸다. 양천구는 학군 수요가 줄고 비수기까지 겹치며 전세 매물 적체가 심화된 상태다. 목동 신시가지2단지(89㎡)는 1500만원이 하락한 2억 5000만~2억 8000만원 선이다.
반면 강남구는 대치동을 중심으로 전셋값이 많이 오르고 있다. 수요와 매물이 모두 많진 않지만 급매물은 빠진 상태다. 대치동 은마(102㎡)는 1000만원이 올라 2억 6000만~3억 1000만원 선이다. 경기 지역에선 과천이 소폭 내리고 성남이 올랐다.
한편 정부의 ‘5·10 부동산 대책’이 발표된 지 열흘이 지났지만 아파트 매매 시장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강남 재건축아파트의 집값 상승세는 주춤하고 수도권 신도시들의 집값 하락세는 깊어졌다.
일단 집값을 끌어올릴 변곡점이 될 것이란 기대감은 낮아진 상황이다. 4주일 만에 하락한 재건축 아파트값은 서울 용산·송파·강남구 등에서 낙폭이 컸다. 송파구 가락시영2차(33㎡)는 1000만원 내린 4억 3000만원 안팎의 호가를 나타냈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2-05-21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