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일·채소 등 신선식품 일시 품절
배송 물량 대폭 늘려도 조기 매진
하루이틀 뒤 받는 서비스는 ‘안정’

1일 업계에 따르면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 시행 전후로 온라인 주문이 급증하면서 새벽배송으로 받을 수 있는 신선식품의 매진 사태가 잇따르고 있다.
이날 쿠팡의 새벽배송 서비스인 ‘로켓프레시’의 과일 가운데 70%가 일시 품절된 상태이며 채소·곡물은 약 50%가 팔렸다. 새벽배송 전문업체인 마켓컬리에서도 새벽배송이 가능한 물량을 하루 8만건에서 최대 10만건까지 늘렸음에도 오후 11시까지 주문 가능했던 채소, 과일 등의 약 20%가 이날 오후 2시 30분까지 판매됐다. SSG닷컴도 하루 13만건까지 가능한 새벽배송 서비스 예약률이 이날 오전 11시 기준 99%까지 찼다.
이는 온라인 주문이 집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롯데온이 운영하는 롯데마트몰은 지난달 28일부터 31일까지 롯데마트몰 매출이 2주 전 대비 21.8% 신장했다고 밝혔다. 마켓컬리에서도 이 기간 주문량이 평소보다 20~2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SSG닷컴의 배송 가동률도 평소 80~90%에서 98%까지 상승했다.
새벽배송 서비스는 마비됐지만 주문 후 하루이틀 뒤에 받을 수 있는 배송 서비스는 평소와 같이 이용할 수 있다. 이커머스 업계 현장에서는 지난 3월 코로나 확산 초기 때와 같은 혼란은 없다고 설명한다. 지난 3~4월 확산기 때 ‘맷집’을 키운 업체들이 비상 상황에 대비해 전체적으로 소화할 수 있는 배송 처리 물량 등을 늘렸기 때문이다. 롯데온은 각 점포에서 온라인 상품 픽업 및 포장 인원은 물론 배송 차량도 늘리는 등 하루 배송 가능 물량을 이전보다 10% 확대해 운영하고 있다. 롯데온 관계자는 “대형마트 특성상 재고가 넉넉하고, 주문 자체를 전국에 있는 점포에서 나누어 받고 있기 때문에 품절 걱정은 안 해도 된다”고 밝혔다. 쿠팡은 지난해 말 5000명이었던 배송기사(쿠팡친구)를 현재 1만명까지 늘렸다.
라면, 생수 등 식품 재고도 넉넉하다. 농심 관계자는 “지난 3월엔 모두가 처음 겪는 일이라 두려움도 커 생필품 과소비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 사실”이라면서도 “초기 확산기에도 물량은 부족하지 않았고 지금도 생산량과 재고가 충분하다”고 말했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2020-09-02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