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달 콘퍼런스서 공개
첫 번째 탭 ‘친구 목록’
게시물 순서대로 노출
‘숏폼’ 서비스도 제공

카카오톡 ‘친구’ 탭(왼쪽)은 등록한 대화 상대의 이름과 프로필 사진을 나열하는 전화번호부 형식이다. 카카오는 이를 인스타그램 피드 화면(오른쪽)처럼 대화 상대가 올린 사진 등 콘텐츠를 모아 보여주는 형식으로 개편한다. 자료 : 카카오톡·인스타그램
카카오톡이 소셜미디어(SNS)로의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 이용자 체류 시간이 점차 줄어드는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20일 카카오에 따르면 다음달 중하순 열리는 연례개발자 콘퍼런스 ‘이프(IF) 카카오’에서 새롭게 개편된 카카오톡이 공개된다.
지난 2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카카오톡은 이제 단순한 메신저를 넘어, 콘텐츠 발견과 탐색 그리고 관계 기반의 소셜 기능까지 포괄하는 플랫폼으로 진화할 예정” 이라고 했다.
이번 개편에선 카카오톡의 첫 번째 탭인 ‘친구 탭’을 단순한 친구 목록에서 일상을 공유하는 피드 형태로 바꿀 계획이다. 기존의 ‘가나다순’ 친구 목록이 아닌 인스타그램처럼 친구들의 게시물이 순서대로 노출되는 방식이다. 정 대표는 “이를 통해 카카오톡이 메신저를 넘어 일상을 공유하는 소셜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했다. 숏폼 콘텐츠 제공 공간도 세 번째 탭에 배치된다.
이번 개편의 목표는 이용자의 체류 시간 확대로 분석된다. 앱 분석 플랫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카카오톡의 1인당 월평균 사용 시간은 2021년 800분에서 지난 7월 709분으로 크게 줄었다. 2023년부터 인스타그램이 카카오톡의 사용 시간을 넘어섰는데, 지난달 기준 인스타그램 1인당 월평균 사용 시간은 989분이었다.
다만 카카오톡은 앞서 2023년 인스타그램 스토리(24시간 동안 공개되는 게시글)와 같은 서비스인 ‘펑’을 도입했으나, 업무상 친구로 등록된 경우가 많은 영향인지 펑의 존재를 아는 이용자가 드물고 실제 사용하는 사례도 많지 않았다.
2025-08-21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