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규모 2년새 2배이상↑… 위니아만도·LG 신제품 내놔
날씨가 춥고 건조해지는 겨울이 다가오면서 밀폐 공간에서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해 주는 ‘에어워셔’ 제품이 소비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이 제품은 별도의 살균제 없이도 세균 확산을 막을 수 있어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사망사건 이후 아이를 둔 가정을 중심으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실제로 2010년 12만대 수준이던 판매량은 올해 25만대 이상으로 2년 만에 2배 이상 커질 것으로 보인다.
2007년 국내에 처음으로 에어워셔를 도입한 위니아만도는 지금까지 23만대를 팔며 업계의 주요 메이커로 자리잡았다. 가습과 청정, 제균, 제습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제품군을 모두 갖추고 있다. 최근 출시한 2013년형 ‘위니아 에어워셔 프라임’은 플라스마 이온을 발생시켜 공기 중 각종 세균과 미세 먼지를 제거하는 ‘이온 청정’ 모드가 특징이다. 38만원대부터.
2010년 시장에 처음 진출한 LG전자는 최근 국내 시장 점유율을 40%까지 높이며 재미를 보고 있다. 지난달 내놓은 ‘LAW-A051WB’ 모델은 국내 최초로 온풍 기능을 갖춘 제품이다. 기존 공기청정과 제균, 습도 조절 기능에 온풍 기능을 더해 1년 내내 쓸 수 있는 사계절 가전제품이라는 게 LG전자의 설명이다. 44만 9000원.
외국산 제품으로는 독일 벤타의 ‘LW’ 시리즈(40만원대부터), 스웨덴 일렉트로룩스의 ‘프리스카 에어워셔’(40만원대) 등이 잘 알려져 있다. 벤타는 세계 최초로 에어워셔를 개발한 업체답게 가습 기능과 공기 청정 기능 모두 탁월한 것으로 유명하다. 일렉트로룩스 역시 독창적인 3단계 공기청정 시스템을 갖춰 바이러스와 유해세균까지 제거한다.
다만, 에어워셔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공기 정화 능력이 기존 공기청정기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게 업계의 공통된 설명이다. 아직까지는 에어워셔에서 공기 청정 능력은 부가 기능 정도로 보는 게 맞다는 것이다.
또한 에어워셔는 내부의 드럼을 돌려 가습과 공기 청정을 하는 제품이어서 가습 및 청정 능력이 좋을수록 다소 시끄러울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사용 목적에 따라 제품별 특성을 확인하고 구매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12-11-10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