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기업 안랩(옛 안철수 연구소)은 온라인 뱅킹 사용자 정보를 훔쳐내는 악성코드인 ‘스파이아이’를 자체 분석한 결과, 북미지역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해당지역의 은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2일 밝혔다.
스파이아이는 인터넷 뱅킹 정보를 탈취하는 것으로 악명높은 ‘제우스(ZeuS)’와 더불어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유포된 악성코드다.
안랩에 따르면, 패킷 데이터분석 시스템을 통해 스파이아이 관련 호스트 정보를 추출한 결과, 북미지역이 48%로 가장 많은 도메인 보유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러시아(7%), 우크라이나(6%)의 순이었다. 한국은 4%로 5위를 차지했다.
스파이아이는 2009년 12월 처음 발견된 후 지속적으로 변형이 만들어지고 있다. 스파이아이와 제우스로 인한 피해액은 전 세계적으로 약 1억달러로 추산된다.
안랩은 시큐어브라우저, 안티 키로거, 방화벽, 백신 등으로 구성된 보안플랫폼 안랩 온라인 시큐리티(AOS)’를 통해 웹사이트를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뉴시스
스파이아이는 인터넷 뱅킹 정보를 탈취하는 것으로 악명높은 ‘제우스(ZeuS)’와 더불어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유포된 악성코드다.
안랩에 따르면, 패킷 데이터분석 시스템을 통해 스파이아이 관련 호스트 정보를 추출한 결과, 북미지역이 48%로 가장 많은 도메인 보유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러시아(7%), 우크라이나(6%)의 순이었다. 한국은 4%로 5위를 차지했다.
스파이아이는 2009년 12월 처음 발견된 후 지속적으로 변형이 만들어지고 있다. 스파이아이와 제우스로 인한 피해액은 전 세계적으로 약 1억달러로 추산된다.
안랩은 시큐어브라우저, 안티 키로거, 방화벽, 백신 등으로 구성된 보안플랫폼 안랩 온라인 시큐리티(AOS)’를 통해 웹사이트를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뉴시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