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미엄 헤드폰 4종 서울신문 기자들이 써보니

프리미엄 헤드폰 4종 서울신문 기자들이 써보니

입력 2012-02-25 00:00
수정 2012-02-25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근 10~20대 학생들과 음악 동호인들 사이에서 프리미엄 헤드폰들이 인기를 얻고 있다. 가격은 좀 비싸지만 스마트폰의 MP3 파일 등 음원을 최고의 성능을 가진 헤드폰으로 듣고 싶어하는 수요가 그만큼 많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고가의 헤드폰이 성능은 좋다는 걸 잘 알지만, 그래도 이름만 들어서는 그 제품이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알기 어려운 게 사실. 그래서 서울신문 취재진이 나섰다. 업체들의 도움으로 프리미엄 헤드폰으로 유명한 소니(모델명 MDR-Z1000)와 페니왕(오버이어 3001), 비츠바이닥터드레(이하 닥터드레·스튜디오 핑크), 소울바이루다크리스(소울·SL300)의 대표 제품을 이용, 장르별로 음악을 들어보고 평가해 봤다.

이미지 확대
24일 서울 중구 태평로 서울신문사 회의실에서 본지 산업부 기자들이 프리미엄 헤드폰을 직접 사용하면서 품평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류지영·홍혜정·이두걸 기자.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24일 서울 중구 태평로 서울신문사 회의실에서 본지 산업부 기자들이 프리미엄 헤드폰을 직접 사용하면서 품평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류지영·홍혜정·이두걸 기자.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 해당 제품들에 대한 자세한 소개는 류지영 기자의 블로그 (ryu.blog.seoul.c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류지영(이하 류) 다들 스마트폰을 쓰고 있어서 그런지 헤드폰에 대한 관심이 많네요. 제품들을 다 한 번 써 봤으니, 프리미엄 헤드폰들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내려주세요.

홍혜정(이하 홍) 브랜드에 따라 약간씩 차이는 있지만, 전반적으로 다들 일정 수준의 퀄리티는 갖추고 있다고 보여요. 음향 전문가가 아니라면 어떤 제품을 구입해도 큰 불만은 없을 것 같네요.

이두걸(이하 이) 저 같은 경우는 여가 시간에 아마추어 록밴드 활동을 해서 그런지 음악에 대한 귀가 조금은 남다르다고 생각하는데요. 헤드폰들을 동시에 들어보니 제품들이 음악 장르별로 특화돼 있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어요. 그런 차이를 잘 알면 제품 구입에 도움이 될 것으로 봅니다.

소니 헤드폰의 경우 함께 써 본 제품 가운데 가장 사실적으로 음을 전달한다는 느낌을 받았어요. 덕분에 아무리 작은 소리도 뭉개지지 않고 선명하고 깨끗하게 들렸어요. 제 아이폰에 있던 마일스 데이비스의 ‘소왓’은 1959년에 만들어진 원곡을 디지털로 복각한 것인데, 이 제품으로 들어보니 LP판의 지지직거림까지 그대로 들렸습니다. 이런 느낌은 고가의 스피커 제품에서나 경험할 수 있는 것이죠. 그래서 저는 이 제품이 제일 마음에 드네요.

저도 이 제품이 악기 하나하나의 소리가 중요한 클래식이나 재즈 같은 장르에 적합하지 않나 해요. 다만 다른 제품들과 달리 ‘노이즈 캔슬링’(주변 소음을 제거해주는 기능)이 없다는 게 아쉬워요. 애초 이 제품이 음악 스튜디오용으로 만들어진 것이어서 해당 기능이 필요 없었기 때문이 아닌가 싶기는 해요. 밖에서 헤드폰을 쓰기에는 조금 시끄럽다고 느낄 수도 있겠어요. 다른 제품들보다 비싼 가격도 부담이고요.

제가 들어보니 ‘박태환 헤드폰’으로 유명한 닥더드레나 ‘빅뱅 헤드폰’으로 알려진 소울은 큰 차이가 없었어요. 브랜드를 가리고 들으면 저는 구분을 못할 것 같아요. 아무래도 두 제품이 미국의 유명 힙합 뮤지선들이 직접 참여해 만든 거라 그런지 중저음이 특히 강조돼 있다는 느낌이에요.

힙합곡인 리쌍의 ‘인생은 아름다워’를 여러 차례 들어봤는데, 이 두 제품은 다른 헤드폰들보다 비트감을 강하게 느끼게 해 줘 사람을 좀 더 흥분시켜요. 두 제품이 만들어진 의도처럼 평소 힙합이나 댄스 등을 즐겨 듣는 이들이라면 이 제품이 유용할 것 같네요. 저 역시도 이 둘이 제일 좋았어요.

다만 제 생각에는 이 제품들에 채택된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조금 아쉬웠어요. 스마트폰에 끼고 길거리에서 듣기 위해 만든 제품이다보니 어쩔 수 없이 채택한 것이지만, 아무래도 주변 소음을 줄이기 위해 인위적으로 백색소음(다양한 음높이의 소리를 합쳐 내는 넓은 음폭의 소음)을 내야 해 미세하게나마 음을 왜곡시킨다는 느낌이 있어요.

예를 들어 클래식인 라흐마니노프 피아노협주곡 제2번 작품 제2악장 아다지오 소수테누토를 듣는데, 곡이 조용하다보니 이 제품들의 백색소음이 다소 거슬렸어요. 일반인에게는 상관이 없을 수도 있지만, 정밀한 음질을 추구하는 분들이라면 조금 불만일 수도 있어요.

그러고보니 각자 다 선호하는 제품이 다르군요. 저는 페니왕 제품이 제일 괜찮았어요. 앞서 언급한 제품들이 특정 장르에서는 강한 모습을 보이지만, 또 다른 장르에서는 약점을 보이기도 하잖아요. 그런데 이 제품은 전 분야에서 고르게 무난한 성능을 보여줬어요. 학생에 비유하자면 특정 분야에서 전교 1등은 아니지만, 전 과목에서 고르게 성적을 받아 최고점을 받는 우등생이라고 할까요. 그만큼 제품 최적화가 잘돼 있다는 뜻이겠죠.

록인 ‘락앤롤’(레드 제플린)이나 발라드인 ‘시간을 거슬러’(린)를 들을 때 음 전체를 안정되고 차분하게 끌고 간다는 느낌이었어요. 제품 디자인도 세련됐고, 헤드폰이 귀 전체를 쏙 덮어줘 제일 편하게 착용했어요.

반대로 말하면 특정 분야의 마니아들에게는 그런 부분이 다소 아쉬울 수도 있다고 생각해요. 부드러운 비트감이나 무난한 음색이라는 것은 강렬하고 자극적인 면을 추구하는 힙합 혹은 록 마니아들에게는 ‘2% 부족하다.’고 느끼게 할 수도 있거든요.

여성들에게 약간 무겁다는 느낌도 있네요. 아무튼 프리미엄 헤드폰을 한 자리에서 만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었어요. 다만 다들 가격이 너무 비싸요. 조금씩만 내려준다면 얼마나 좋을까.

홍혜정·이두걸·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12-02-25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