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와 스마트기술이 건설현장에 본격 도입되면서, ‘사람이 직접 감시하지 않아도 위험을 사전에 인지하고 대응하는 시스템’에 대한 기대가 높아진다. 국토부가 최근 ‘AI 기반 건축 안전 모니터링’ 기술 개발에 착수한 가운데, 현장에서는 실시간 감지·전송·기록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초소형 안전 디바이스에 주목한다.
㈜데키스트는 이런 흐름 속에서 휴대용 4가스 감지기 ‘라디오노드 RN630’을 출시했다. 이 장비는 LoRaWAN 통신 기반의 세계 최소형 가스 감지기로, 별도 중계기나 와이파이 없이도 수 km 거리에서도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산소(O₂), 일산화탄소(CO), 황화수소(H₂S), 이산화탄소(CO₂) 또는 LEL 4종의 가스를 동시에 감지하고, 경고 및 관리자 전송, 자동 기록까지 수행한다. 특히 건설현장이나 정비작업, 플랜트 등 복잡하고 넓은 공간에 중계기 없이 적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스마트 건설 기술 확산 흐름에 최적화된 장비로 평가받는다.
RN630의 무게는 단 175g에 불과해 작업자의 활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안전 기능은 절대 포기하지 않는 현장 최적화 설계가 특징이다. 이 장비는 쓰러짐 감지, 긴급 호출, 관리자 다중 전송, 기록 보고서 기능 등을 통해 실제 작업자 중심의 안전관리 환경을 실현한다.
최근 RN630에는 온도 및 습도 센서를 기반으로 한 체감온도 측정 기능이 탑재됐다. 이로써 폭염 등 온열 질환 위험에도 실시간 대응할 수 있다. 체감온도 기준이 산업안전보건규정에 포함되면서, 작업 환경의 온열 리스크를 가시적으로 관리하고 예방할 수 있는 수단으로 RN630의 활용도가 더욱 확대된다.
데키스트는 현장 기업들이 RN630을 자사 건설관리 시스템, 안전관제 플랫폼, ERP 등과 쉽게 연동할 수 있도록 OPEN API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RN630이 측정한 실시간 가스 데이터, 체감온도 정보, 경고 발생 이력 등을 기존 시스템에 통합하여, 현장 데이터를 단순 기록이 아닌 ‘스마트 안전 자산’으로 전환할 수 있다.
RN630의 실시간 알림 및 기록 기능은 디지털 트윈, 스마트 건설 플랫폼, 무인관제 시스템과도 연동할 수 있다. 이는 데이터 기반 위험예측 체계를 구성하려는 기업들에 실질적인 기술적 토대를 제공한다.
현재 건설업계는 AI 기반 위험예측, BIM 기반 자동 검측, 스마트 관제 기술 등 다양한 디지털 안전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RN630은 이러한 흐름에 현장 친화적이면서도 정책 대응 가능한 연결 고리로 주목된다. RN630은 기존 시스템과 쉽게 연동 가능하고, 현장 적용 장벽이 낮기 때문이다.
정부가 스마트건설 기술 도입에 인센티브 기반 제도 도입을 검토 중인 만큼, RN630은 기술성뿐 아니라 정책 대응 가능성과 확장성 측면에서도 주목할 만한 장비다.
데키스트는 “기술은 사용자와 현장에 부담을 주지 않아야 의미가 있다”며 “RN630은 스마트건설 전환의 마지막 공백지대였던 ‘현장 실시간 안전 감지’의 해법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