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관광객 전년보다 12.0% 증가
내국인 9.8% 외국인 24.9% 껑충
각종 인센티브. 팝업 홍보전 주효
11월 첫날인 1일 관광객들이 제주 서귀포시 송악산 둘레길을 탐방하고 있다. 제주 강동삼 기자
면세점 쇼핑에 나선 중국인 단체관광객들의 모습. 제주 강동삼 기자
제주 관광이 감소세를 벗어나 본격적인 회복세로 전환하고 있다.
2일 제주도에 따르면 10월 제주 방문 관광객이 133만 6000명(잠정)을 기록하며 전년 같은달보다 12.0% 증가했다.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월간 증가율이다.
내국인은 9.8%, 외국인은 무려 24.9% 늘어나며 내수와 외국인 관광객 모두 회복세가 뚜렷하다. 특히 외국인 증가율은 내국인의 2배를 넘어서며 해외시장 공략 전략이 가시적 성과를 내기 시작했다.
도는 10월 잠정 관광객 집계 결과 2025년 2분기 이후 회복세가 본격화됐다는 설명이다. 연초 두 자릿수 감소세를 보였던 제주 관광객 수는 최근 반등세에 힘입어 전년 대비 증감률이 –1%대로 회복됐다.
도 관계자는 “특히 6월 이후 지속된 상승세가 10월 가을 시즌에 정점을 찍었다”며 그 핵심에는 2월 출범한 ‘제주관광 비상대책위원회’가 있었다. 경기 침체와 소비심리 위축에 대응해 민관이 함께 추진한 ‘단체방문 인센티브’와 국내외 마케팅이 실질적인 수요 진작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단체여행이 지역경제를 살린다’는 인식 아래 도입된 단체 인센티브 사업은 숙박·교통·음식 등 지역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또 6월부터 시행된 ‘제주 도착 즉시 탐나는전 지급’ 정책도 소비 확대에 한몫했다.
비수기를 공략한 ‘제주여행주간’은 성수기 사이 틈새시장을 열며 재방문 수요를 끌어올렸다. 서울·부산·여주 등 대도시에서 진행된 팝업 홍보전은 ‘도심 속 제주 체험 열풍’을 불러일으켰다.
단체여행인센티브, 고향사랑기부제, 남방큰돌고래서포터즈 등 도정 정책 홍보와 함께 제주 음식, 특산품 인지도를 높인 것도 주효했다.
중국·대만 등 기존 핵심 시장에 더해 일본·싱가포르까지 홍보를 확대하며 시장 다변화 전략도 속도를 냈다.
해외 서포터즈 ‘JJ프렌즈’ 운영, 중국 씨트립·통청망 등 글로벌 OTA 연계 마케팅, 따중디엔핑 등 현지 생활 플랫폼 프로모션도 병행했다.
‘중국 단체 무비자’ 정책 대응과 해외시장 수요 창출 준비도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달 30일에는 해외 11개 제주관광홍보사무소와 화상회의를 열고 중국 단체 무비자 정책 대응, 일본 방문률 제고, 교통 접근성 강화 등을 논의했다.
9월 출시된 디지털 관광 인증제 ‘나우다(NAUDA)’는 두 달 만에 가입자 5만 명을 돌파하며, 제주 관광의 지속가능성과 공감 참여 문화를 이끌고 있다.
도는 전통적으로 수요가 감소하는 겨울 시즌 대비책도 마련했다. ‘2025 지금, 제주여행’ 캠페인 일환인 ‘제주여행주간-겨울 시즌’을 11월 21일부터 12월 7일까지 개최해 사계절 관광을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김양보 제주도 관광교류국장은 “10월 관광객 12% 증가는 단순한 수치 이상의 의미”라며 “정책의 실효성과 제주 관광의 신뢰 회복이 함께 증명된 결과”라고 말했다. 이어 “남은 두 달 성장세를 이어가 내년 완전한 회복세로 연결하겠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