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주주 지분 4.57% 추가 인수 단행...BW 발행 임박 시점, 성장 확신에 대한 가장 큰 규모의 자본 배팅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유니켐(011330)이 오는 11월 5일 신주인수권부사채(BW) 공모 개시를 앞두고, 최대 주주의 지배력 강화에 나섰다.
이는 BW 발행이라는 잠재적인 주식 희석 이벤트를 목전에 두고 경영진이 스스로 회사의 장기적인 비전과 성장에 가장 큰 규모의 자본을 배팅한 것으로 시장은 해석한다.
지난 10월 30일 공시된 주식양수도 계약에 따라, 유니켐의 최대 주주인 ㈜제이에이치사람들은 기존 주주 지분 4,433,751주(4.57%)를 추가 인수하며 총 보유 주식수가 19,204,111주로 확고해졌다. 이 같은 지배력 강화는 BW 투자자들에게 확고한 경영 안정성과 책임 경영 의지를 강력하게 천명하여 자금 조달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핵심 시그널이 되고 있다.
최대 주주의 자신감은 회사의 내실 있는 펀더멘털 개선에 기반하고 있다. 유니켐은 50년간 축적된 자동차 소재 사업의 혁신을 바탕으로 2025년 상반기에 성공적인 흑자 전환을 달성하며 안정적인 수익 창출 구조로 돌아선 상황이다.
특히 주목할 점은 재무 건전성이 극적으로 개선된 점이다. 2022년 말 212%에 달했던 부채비율은 2025년 상반기 61%까지 대폭 축소되어 안정적인 수준을 확보했다. 이는 유니켐이 재무적 약점이 아닌 구조적 안정화 위에서 성장을 위한 자본을 조달함을 명확히 입증한다.
유니켐은 BW를 통해 조달할 300억 원의 공모 자금을 전액 자동차 소재 사업의 경쟁 우위 강화에 집중 투입한다는 엄격한 자본 배분 계획을 제시하며 투자자 신뢰를 확보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시설 자금(CAPEX) 106억 원은 생산성 극대화를 위한 자동화 설비 도입과 고마진 부품 모듈 사업(커버링) 확장을 위한 후가공 공장 인수에 사용되며, 운영 자금 187.7억 원은 신형 팰리세이드(LX3), 신형 투싼(NX5) 등 주요 신규 수주 물량 대응을 위한 원재료 선확보에 쓰일 예정이며, 이는 2026년 이후 예상되는 1,400억 원대의 매출 성장의 핵심 기반을 다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유니켐 김진환 대표는 “대주주의 지분 강화는 회사의 미래 성장에 대한 확고한 믿음의 표현이며, BW 자금은 핵심 사업의 비전을 공고히 하는 데 사용될 것”이라고 밝히고, “지배구조 안정화와 함께 구체적인 자금 집행 계획을 제시하며, 고객과 투자자들에게 확실한 성장 로드맵을 제시하겠다”고 자신감을 나타냈다.
온라인뉴스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글로벌 AI 서비스 업체들이 성적인 대화, 성애물 등 ‘19금(禁)’ 콘텐츠를 본격 허용하면서 미성년자 접근 제한, 자살·혐오 방지 등 AI 윤리·규제 논란이 한층 가열되고 있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도 ‘GPT-4o’의 새 버전 출시 계획을 알리며 성인 이용자에게 허용되는 콘텐츠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19금 대화가 가능해지는 챗GPT에 대한 여러분은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