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데이터처 ‘2024년 기업생멸행정통계’
지난해 신생기업 92만 2000개…9.2%↓
서울 중구 명동의 한 지하상가가 폐업으로 문이 닫혀 있다. 뉴스1
내수와 부동산 경기가 가라앉으면서 지난해 신생기업이 7년 만에 최저치로 내려앉았다. 반면 2023년 기준 소멸기업은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로 늘어났다. 이에 따라 전체 활동기업 가운데 신생기업 비율은 떨어지고, 소멸기업 비율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데이터처가 23일 발표한 ‘2024년 기업생멸행정통계(잠정)’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신생기업은 92만 2000개로, 전년보다 3만 3000개(-3.5%) 줄었다. 2020년 이후 4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며, 2018년 이후 7년 만에 최소치로 쪼그라든 것이다.
산업별로는 부동산업과 숙박·음식점업의 신생기업이 각각 1만 6000개(8.8%), 1만 4000개(9.0%) 줄었다. 부동산 경기 침체와 내수 침체가 장기화하며 이 분야 창업이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활동기업 중 신생기업 비율을 의미하는 신생률은 12.1%로 0.6%포인트 내렸다.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1년 이후 1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또한 2022년 신생기업 중 2023년까지 생존한 기업 비율은 64.4%로, 0.5% 포인트 낮아졌다. 2022년 신생기업 3곳 중 1곳 이상은 1년을 버티지 못했다는 의미다.
소멸기업은 고공행진 했다. 2023년 활동한 기업 중 소멸기업은 4만개 늘어난 79만 1000개로,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았다. 활동기업 중 소멸기업 비율인 소멸률은 10.5%로, 0.3% 포인트 올랐다. 소멸기업은 도·소매업(1만 7000개, 8.8%)과 운수·창고업(1만 2000개, 26.6%)에서 늘었다. 신생기업 수가 소멸기업을 웃돌면서 지난해 활동기업은 764만 2000개로, 10만 3000개 증가했다.
고령자나 여성이 이끄는 기업은 늘어났다. 고령화 영향으로 활동기업 가운데 60대(4.3%)와 70대 이상(9.9%) 대표자는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반면 30대 미만(-6.8%)과 40대(-2.1%) 대표자는 줄었다. 여성이 대표인 기업은 304만 5000개(39.9%)로 비중이 1.8% 포인트 올라섰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