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개 분기 만에 대규모 매수 단행
셰브론, PER 19배·배당 4.5% 매력
성장 정체에도 안정적 현금 흐름
“현 시장서 가치주에 가장 근접”
최근 정유회사 셰브론 주식을 7000억원 이상 추가 매수한 워런 버핏(95)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을 생성형 인공지능(AI)으로 표현한 이미지.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95)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이 최근 정유회사 셰브론 주식에 7000억원 이상을 추가 투입하며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그동안 보유 주식을 대거 매도해온 버핏이 오랜만에 대규모 매수에 나선 것입니다. 시장 전체가 고평가됐다는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버핏은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셰브론에서 가치를 발견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미국 투자 전문 매체 모틀리풀은 19일(현지시간) “워런 버핏이 5억 2159만 2958달러(약 7410억원) 규모의 매수 버튼을 눌렀다”며 “오마하의 현인이 주식시장에서 가치를 발견하기 시작한 것일까”라고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버핏의 투자회사 버크셔해서웨이는 지난 분기 셰브론 주식 350만주를 매입했습니다. 이는 해당 분기 버핏의 최대 규모 매수 중 하나로, 버크셔해서웨이의 셰브론 지분율은 7%에 달합니다.
버핏은 2020년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폭락장 직후 셰브론에 첫 투자를 시작했습니다. 당시 매입가는 주당 80달러 수준이었습니다.
이후 그는 이 종목을 공격적으로 관리해왔습니다. 2021년 초에는 지분을 50% 이상 줄였다가, 같은 해 말부터 다시 매수를 시작했습니다. 2022년 1분기에는 1억 2100만 주를 대거 매입하기도 했습니다.
최근까지 버크셔 해서웨이는 셰브론 주식을 순매도해왔습니다.
지난 7개 분기 중 6개 분기 동안 매도량이 매수량을 웃돌았습니다.
하지만 이번 분기에 그 흐름이 바뀐 것이죠.
“셰브론, 성장 정체 속에도 안정적 수익 유지”셰브론이 버핏의 선택을 받은 이유는 명확합니다. 현재 스탠더드앤푸어스(S&P)500 지수는 주가수익비율(PER) 31배로 장기 평균을 크게 웃돌고 있습니다.
반면 셰브론은 19배에 불과합니다. 매출 성장은 정체됐지만 잉여현금흐름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4.5%의 배당수익률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셰브론이 직면한 도전 과제도 있습니다. 올해 유가가 급락해 배럴당 60달러 아래로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2026년까지 상당한 공급 과잉이 예상됩니다. 석유를 판매하는 기업들에게는 어려운 환경입니다.
그러나 셰브론은 정유, 화학 생산, 인공지능(AI) 애플리케이션용 에너지 생산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는 통합 생산업체입니다.
오랫동안 업계의 순환성을 수월하게 관리해왔습니다. 또한 비용 통제와 자본 효율성에 집중해 유가가 낮아도 수익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죠.
다만 유가가 오르지 않는 한 평범한 실적이 예상되며, 이것이 2022년 이후 주가가 횡보한 주요 원인입니다.
“버핏의 전형적 투자…현 시장서 가치주에 근접”모틀리풀은 “셰브론 주식은 특정 투자자들에게 여전히 매우 매력적인 매수 대상”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시장에서 가치주를 찾기 어렵거나, 약세장 가능성을 우려하거나,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돼 유가가 빠르게 회복될 것으로 예상하는 투자자라면 셰브론이 적합할 수 있습니다.
주가가 엄청나게 싸지는 않지만, PER 19배는 합리적인 수준으로 평가됩니다.
배당수익률과 안정적인 잉여현금흐름은 시장 하락 시 손실을 상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지속되는 지정학적 분쟁을 고려하면 석유 수요와 공급에 급격한 변화가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모틀리풀은 “이번 매수는 현재 시장 환경에서 버핏의 전형적인 행보로 보인다”며 “버핏은 사업 구조를 잘 알고 있고, 셰브론은 지금 시장에서 가치주에 가장 근접한 종목”이라고 평가했습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