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현금 투자 선불” 강펀치… 환율 1420원 코앞, 외환시장 휘청

美 “현금 투자 선불” 강펀치… 환율 1420원 코앞, 외환시장 휘청

황비웅 기자
황비웅 기자
입력 2025-09-29 01:14
수정 2025-09-29 01: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넉 달 만에 최고치’ 달러값 앞날은

美경제 호조에 저금리 기대감 하락
한미 관세 협상 이견으로 원화 압박
“韓 수출 둔화로 고환율 지속 전망”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의 대미 투자액 3500억 달러를 ‘선불’이라고 압박하면서 원달러 환율이 1420원을 바라보는 등 외환시장이 불안해지고 있다.

28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지난 26일 원달러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는 전일 대비 11.8원 급등한 1412.4원이었다. 이는 지난 5월 14일(1420.2원) 이후 약 넉 달 만의 최고치다. 지난 24일(1403.8원) 야간 거래에서 심리적 저항선인 1400원을 뚫고 다음날 주간 거래(1400.6원)에서도 1400원을 넘어선 뒤 2거래일 연속 장중 1410원을 넘었다.

외환시장에서는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나온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압박이 원화 가치를 끌어내리고 있다고 평가한다. 한미는 지난 7월 30일 관세 협상을 타결하며 미국이 한국에 부과하는 상호관세와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고, 한국이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를 실행하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이행 방안을 두고 한미가 이견을 보이고 있다. 한국은 대부분을 대출과 보증으로 하려는 구상이었지만, 미국은 전액 현금을 요구했다. 한미 간 견해차가 부각되면서 외환시장에도 압박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는 미국의 요구를 현실화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지난 8월 말 기준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4163억 달러로, 3500억 달러는 이 중 84%에 달한다. 이 금액이 현금으로 빠져나가면 외환시장의 변동성에 대응할 실탄이 부족해 환율이 급등할 수 있다.

미국 경제지표가 예상보다 호조세를 나타내면서 달러가 강세를 보인 영향도 있다. 앞서 미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 25일(현지시간) 계절 조정 기준으로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확정치는 전기 대비 연율 3.8%를 기록했다. 지난달 발표된 잠정치(3.3%)보다 0.5% 포인트 상향 조정됐다.

이날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 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12월까지 기준금리가 0.5% 포인트 인하될 확률을 전날(73.3%)보다 대폭 내려간 60.4%로 낮췄다.

이처럼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이 하락하면서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의 상대적 가치를 의미하는 달러지수(DXY)는 전날 97선 후반대에서 이날 98.50으로 올라서며 2주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이달 들어 달러인덱스는 0.43% 올랐는데 원화는 달러 대비 1.58% 절하됐다.

시장에선 당분간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를 이어 갈 것으로 보고 있다. 이진경 신한투자증권 연구위원은 “무역 협상 불확실성과 9월 수출 둔화가 예상되는 등 원달러 환율 상방 요인이 산재해 있다”고 짚었다.
2025-09-29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챗GPT의 성(性)적인 대화 허용...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글로벌 AI 서비스 업체들이 성적인 대화, 성애물 등 ‘19금(禁)’ 콘텐츠를 본격 허용하면서 미성년자 접근 제한, 자살·혐오 방지 등 AI 윤리·규제 논란이 한층 가열되고 있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도 ‘GPT-4o’의 새 버전 출시 계획을 알리며 성인 이용자에게 허용되는 콘텐츠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19금 대화가 가능해지는 챗GPT에 대한 여러분은 생각은 어떤가요?
1. 찬성한다.
2. 반대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