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왼쪽)가 18일(현지시간) 워싱턴 D.C. 국제통화기금(IMF) 본부에서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오른쪽)와 대담하고 있다. 한국은행 제공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물가안정목표제가 정치권의 단기 압력으로부터 중앙은행 독립성을 지키는 장치라고 강조했다. 비은행 금융기관의 팽창 등 금융 불안 요인을 들어 한국은 다른 나라보다 높은 금리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도 했다.
이 총재는 1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국제통화기금(IMF) 본부에서 특별 강연 후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와 대담을 갖고 “물가안정목표제 덕분에 정치권력이 요구하는 사안에 대해 ‘내 임무가 아니다’라고 답할 수 있다”며 “중앙은행이 장기적 관점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전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내린 사실을 언급하며 “파월 의장의 연설을 보며 한국의 인플레이션이 2%라는 점이 기뻤다. 중앙은행 총재로서 책무를 달성한 상태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연준은 현재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상승률이 목표치(2%)를 웃도는 3% 안팎을 기록하는 가운데 경기 둔화 우려를 고려해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 이 총재의 발언은 정치권의 경기부양 요구에도 중앙은행이 독립적으로 정책을 펴야 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8일(현지시간) 워싱턴 D.C. 국제통화기금(IMF) 본부에서 한국은행 통화정책에 대해 강연하고 있다. 한국은행 제공
그는 또 “비은행 예금취급기관들이 빠르게 성장해 금융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지만 규제는 상대적으로 느슨하다”며 “한국 같은 개방 경제에서는 금융 안정이 핵심 과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중립금리를 산정할 때 금융안정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며 “그 때문에 한국은 다른 나라보다 조금 높은 금리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주장에 대해서는 신중론을 유지했다. 이 총재는 “한국은 아직 자본 이동이 완전히 자유화되지 않았다”며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허용할 경우 사실상 자본 자유화를 의미한다”고 말했다.
한편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이 총재를 “열정적인 골퍼”로 소개하며 “통화정책은 골프처럼 다양한 클럽을 상황에 맞게 선택해야 한다”고 비유했다. 이 총재는 “IMF가 내 골프 가방에 많은 클럽을 담아줬다”며 “그 덕에 필요한 정책 수단을 꺼내 쓸 수 있다”고 화답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