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장지수펀드(ETF) 이미지. 서울신문 DB
국내 상장지수펀드(ETF) 시장 순자산총액이 230조원을 돌파할 정도로 시장 관심이 커지면서 거래대금 규모도 급증했지만, 지난해 한때 70%대를 꾸준히 유지했던 업계 1위 삼성자산운용의 거래대금 시장 점유율은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위 미래에셋자산운용을 필두로 업계 상위권 경쟁사들이 해외증시 관련 ETF 등 다양한 상품을 앞세워 점유율 확보에 나선 영향이란 분석이다.
3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국내 ETF 시장 순자산총액은 지난 27일 231조 908억원을 기록하며 사상 처음으로 230조원 선을 넘어섰다. 1년 전인 지난해 8월 말 157조 5200억원 수준이던 것이 1년 만에 46% 이상 몸집을 키웠다.
시장의 활기와 관심을 대변하는 지표인 거래대금도 올해 들어 크게 늘었다. 올해 8월(28일 기준) 국내 ETF 시장의 일평균 거래대금은 5조 442억원을 기록했는데 지난해 12월 3조 5534억원이었던 것에 비해 1조원 이상 증가했다. 8월 코스피 시장 전체 일평균 거래대금 10조 3930억원의 절반에 달한다. ‘허니문 랠리’(정권 초 증시 상승) 영향으로 국내 증시가 크게 상승한 6월과 7월에는 하루 평균 5조 2000억원대와 5조 4000억원대의 일평균 거래대금을 기록했다.
이처럼 ETF 시장에 자금이 몰리면서 거래대금이 크게 늘었지만 업계 1위 자리를 공고히 하고 있는 삼성자산운용의 일평균 거래대금 점유율은 오히려 소폭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1년 전인 지난해 8월 삼성자산운용의 거래대금 시장 점유율은 73.04%에 달했다. 두번째로 비중이 높은 미래에셋자산운용은 16.13%에 그쳤다.
하지만 올해 8월 삼성자산운용의 일평균 거래대금 점유율은 57.73%로 15%포인트 이상 줄어든 반면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점유율은 21.89%로 5%포인트 이상 증가했다. 업계 3~5위인 KB자산운용과 한국투자신탁운용, 신한자산운용의 거래대금 점유율 역시 같은 기간 1~3% 포인트 가량 확대됐다.
업계에선 상대적으로 개인투자자 점유율 비중이 높은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증시 호조세 속에서 한층 더 활기를 띤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성과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더 잦은 거래에 나서는 투자자들의 비중이 많았을 것이란 분석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지난 7월까지 45개월 연속 개인투자자 점유율 1위 자리를 고수하고 있다.
국내 증시가 8월 들어 소강 상태에 접어든 반면, 해외 증시의 상승세는 도드라졌다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는 목소리도 있다. 한국 주식 ETF에 강하다는 인식이 있는 삼성자산운용과 해외 주식 관련 ETF 역량이 우수하다고 평가받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의 거래대금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을 것이란 이유다. 실제로 지난 6월과 7월 59.49%와 60.53%를 기록했던 삼성자산운용의 거래대금 시장 점유율은 8월 들어 57.73%로 줄었다. 반면 미래에셋자산운용의 거래대금 시장 점유율은 6월 19.97%에서 7월 20.03%로 소폭 늘더니 8월 들어 전월 대비 1%포인트 이상 높아졌다.
업계 관계자는 “작년 초만 해도 꾸준히 70%를 넘겼던 삼성자산운용의 거래대금 시장 점유율이 50%대로 낮아진 건 투자자들의 성향, 주요 상품별 특성 등이 반영된 영향”이라며 “업계 1, 2위 회사에 90% 가까이 집중돼 있던 거래대금 규모가 다른 경쟁사들의 선전과 경쟁력 강화 기조 속에 조금씩 나눠지고 있는데 그만큼 시장이 성숙해가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