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함께면 줄 안 서도 OK... 서울 ‘어린이 패스트트랙’ 확대

어린이 함께면 줄 안 서도 OK... 서울 ‘어린이 패스트트랙’ 확대

강신 기자
강신 기자
입력 2024-05-01 09:37
수정 2024-05-01 09: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 어린이행복 프로젝트’ 2년차
예산 480억원 투입해 확대·강화
100개 경기에 어린이 패스트트랙
서울형 키즈카페 올 130개로 확대

이미지 확대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해 5월4일 어린이들과 서울어린이 권리장전을 낭독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해 5월4일 어린이들과 서울어린이 권리장전을 낭독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저출생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올해 480억원을 투입한다. 서울시는 지난달 30일 ‘서울 어린이행복 프로젝트’ 2년차 정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어린이 행복에 초점을 맞춘 종합계획으로 지난해 5월 오세훈 시장이 발표했다. 서울시는 지난 1년간의 성과를 토대로 더 확대·강화된 정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어린이 패스트트랙’을 확대 운영한다. 어린이 패스트트랙은 공공시설과 문화·스포츠 행사 등에서 어린이를 동반하면 긴 줄을 서지 않고 별도의 전용입구로 빠르게 입장하는 제도다. 서울시는 지난해 11월 고척돔에서 열린 ‘롤드컵(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에서 이 제도를 시범 운영한 바 있다. 상반기 12개 시설 약 100개 경기 80만명 규모의 스포츠 및 문화 행사 등에서 패스트트랙을 운영할 계획이다.

어린이가 정책 주인공이 돼 눈높이 정책을 제안하는 ‘서울 어린이 정책참여단’은 오는 4일 활동을 시작한다. 지난해에 이어 100명이 참여한다. 서울시는 세이브더칠드런과 협력해 다양한 정책 아이디어 연구와 제안 활동을 지원한다.

이용객 16만명을 돌파하며 큰 인기를 끄는 서울형 키즈카페는 올해 130곳까지 확대된다. 또 어린이의 놀이를 돕는 ‘서울형 놀이활동가’를 양성해 서울형 키즈카페에 배치한다. 한강공원, 광화문공원 등에서 아이들이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대형 팝업놀이터 ‘찾아가는 놀이버스’도 현대자동차·세이브더칠드런과 협력해 오는 10월쯤 선보인다. 올해는 더 많은 어린이가 이용하도록 지난해보다 1000명이 늘어난 5000명 규모로 운영할 예정이다.

노트북, 태블릿 PC 등을 이용해 온라인 교육을 손쉽게 학습하는 ‘지역아동센터 온라인학습실’은 지난해 79곳을 조성한 데 이어 올해 50곳을 추가로 만든다. 7∼8월에는 KT와 협력해 150개 지역아동센터 약 2000명 어린이에게 디지털 역량교육도 제공한다. 등하굣길 안전을 위해 초등학교 주 출입구 주변에 교통안전지도사 625명을 배치하고, 1218명의 서울아동안전지킴이가 609개 초등학교 주변에서 폭력예방·실종예방·교통안전 등의 활동을 한다.

올해는 어린이 마음건강 돌봄 프로그램도 진행한다. 시는 어린이 전문기관인 초록우산, 서울시아동복지협회와 협력해 어린이 체험형 마음탐색·성장 시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어린이 마음건강을 책임지는 ‘서울 어린이 활짝센터’(가칭)를 내년 개소할 계획이다. 어린이의 스마트기기 중독을 예방하는 디지털 디톡스 프로그램도 연간 약 500명 규모로 신규 운영하고, ‘어린이 눈 건강 지킴이’ 사업을 통해 연간 약 2만 명에게 안경 할인쿠폰을 제공한다.

이희원 서울시의원, 흑석고등학교 건설 현장 방문해 편안하고 안전한 교육 환경 조성 주문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이희원 의원(동작4, 국민의힘)은 지난 18일 흑석고등학교 건설 현장을 방문해 편안하고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현장에는 나경원 동작을 국회의원, 박상혁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 정근식 서울시 교육감 등도 함께했다. 이 의원은 이날 정근식 교육감에게 흑석고 남측에 학생 보행로를 추가 조성해줄 것을 촉구했다. 당초 설계상 흑석고 남측 출입문은 차량 진출입 용도로만 계획됐다. 이에 흑석고로 자녀를 진학시킬 예정인 학부모들로부터 통학 편의를 위해 남측에도 보행로를 조성해달라는 민원이 다수 제기된 바 있다. 이 의원은 또한 ▲개교와 동시에 수준 있는 교육이 이뤄지도록 경험이 풍부한 전문교사를 적극 배치할 것 ▲재학생 수가 증가할 것에 대비해 현재 4개 층인 교사동을 5개 층까지 증축할 수 있도록 설계에 반영할 것 ▲안전한 급식실, 과학실 등을 조성해줄 것 ▲면학 분위기를 살릴 수 있는 내부 디자인을 채용할 것 ▲밝은 색상의 외장 벽돌을 사용해 밝은 학교 분위기를 조성할 것 등을 교육감에게 주문했다. 정근식 교육감은 흑석고 남측 보행로를 포함한 이 의원의 주문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이 의원은 “현
thumbnail - 이희원 서울시의원, 흑석고등학교 건설 현장 방문해 편안하고 안전한 교육 환경 조성 주문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저출생 문제를 극복하려면 아이들이 존중받고 아이들을 배려하는 사회가 우선시 돼야 한다”며 “미래를 이끌어갈 어린이들이 밝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