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가계대출 조이기 본격화…2금융권 ‘풍선효과’ 차단 돌입

금융당국 가계대출 조이기 본격화…2금융권 ‘풍선효과’ 차단 돌입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21-08-20 13:38
수정 2021-08-20 13: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가계대출 증가율 가파른 농협은행, 농협상호금융
20일 금융위에 관리대책 보고, 농협은 이미 신규 대출 중단

농협은행 간판  연합뉴스
농협은행 간판

연합뉴스
금융당국이 2금융권 ‘풍선효과’를 차단하는 등 가계대출 관리 고삐를 조이고 있다.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 목표치를 넘긴 NH농협은행과 농협중앙회는 20일 금융당국에 가계대출 관리대책을 보고했다. 금융당국이 특단의 대책을 요구한 지 이틀 만이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이날 농협은행과 농협중앙회 임원은 금융위를 찾아 가계대출 관리대책을 설명했다. 금융위는 지난 18일 농협은행과 농협중앙회에 가계대출 총량관리 목표를 지키기 위한 계획을 이번 주까지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농협은행은 금융당국이 제시한 연간 5~6%의 가계대출 증가율을 훌쩍 넘어섰다. 지난달 말 기준으로 농협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율은 7.1%에 달한다.

이에 농협은행은 오는 24일부터 11월 30일까지 신규 주택담보대출 취급을 중단한다고 전날 밝혔다. 이 기간에는 전세대출, 비대면 담보대출, 단체승인 대출(아파트 집단대출)을 신규로 접수하지 않는다. 기존 대출의 증액이나 재약정도 하지 않는다. 중도금·이주비·잔금 등 집단대출, 양도상품, 나라사랑 대출은 중단 대상에서 제외된다. 신용대출도 기존과 동일하게 받을 수 있다. 또 23일까지 접수한 건에 대해선 기존처럼 심사해 실행한다.

지역농협을 운영하는 농협중앙회의 가계대출 증가율도 올 초 제출한 연간 목표치인 5%를 지난말 이미 넘어섰다. 농협중앙회는 일부 대출 상품 중단, 현재 60%인 개인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자체적으로 강화하는 방안 등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가계대출 잔액 1660조 가운데 농협은행은 120조원, 농협중앙회 190조원을 차지한다. 두 곳만 합쳐도 전체 가계대출 잔액의 20%를 차지한다.

금융당국은 전날 상호금융을 포함해 저축은행, 보험사, 카드사 등 2금융권에 가계대출의 철저한 관리를 지시했다. 자체적인 관리에 나서서 연간 목표치를 준수하지 않으면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취지다.



지난 1~7월 2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액은 27조 4000억원에 달한다. 2019년 같은 기간에 2금융권의 가계대출이 3조 5000억원이 감소했고, 2020년에도 2조 4000억원 줄어든 것을 고려하면, 올해 들어 가계대출이 급격하게 늘어난 것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