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끌·생끌에 가구당 빚 8000만원… 열에 한 집은 ‘연체의 굴레’

영끌·생끌에 가구당 빚 8000만원… 열에 한 집은 ‘연체의 굴레’

나상현 기자
입력 2020-12-17 22:26
업데이트 2020-12-18 02: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0대 집 구매·코로나 생계난에 첫 돌파
소득 1.7% 늘 때 부채는 4.4%나 뛰어
부동산·전월세 관련 금융부채가 73%
10.7% “원금 상환·이자 납부일 못 지켜”

올해 가구당 평균 부채가 처음으로 8000만원선을 넘었다. ‘영끌’(영혼까지 끌어 모은 대출)로 부동산을 구매하는 30대와 생계자금이 필요한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부채가 크게 증가했다. 그러나 금융부채가 있는 10가구 중 1가구는 원리금 납기일도 지키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 3월 기준으로 가구당 평균 자산은 4억 4543만원, 평균 부채는 8256만원이었다. 모두 지난해보다 각각 3.1%, 4.4% 늘었다. 이에 따라 가구당 평균 순자산은 전년 대비 2.9% 증가한 3억 6287만원을 기록했다.

가구당 평균 부채가 8000만원을 넘어선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담보대출, 신용대출 등을 포함한 금융부채는 전체 부채의 73.3%(6050만원)였고 나머지 26.7%(2206만원)는 임대보증금이다. 전년 대비 증가율은 임대보증금(2.4%)보다 금융부채(5.1%)가 두 배 이상 높았다. 임경은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증가액으로 따졌을 때 담보대출이 굉장히 큰 폭으로 늘었다”면서 “부동산 가격이나 전월세 보증금이 증가한 측면과 연동해서 해석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실제로 ‘왜 부채를 빌리게 됐는지’에 대해서도 별도로 조사를 하는데, 주택 구입이나 전월세 보증금을 위해 부채를 얻게 됐다는 비중이 대다수였다”고 말했다.

특히 가구주 연령대를 보면 30대에서 부채 증가율이 13.1%로 가장 높았다. 이어 29세 이하(8.8%), 50대(6.4%), 40대(6.0%), 60세 이상(1.1%) 순이었다. 특히 2030세대의 주택 구매 수요가 높아진 영향으로 해석된다. 소득 분위별로는 최하위층인 1분위(8.8%)와 2분위(8.6%)에서 가장 높은 부채 증가율을 보였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코로나19에 따른 생계자금 수요 영향으로 소득 하위 1·2분위 부채 증가율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임 과장은 “3월 말 기준이기 때문에 코로나19 영향으로 생긴 부채인지 그 이전부터 있었던 부채인지는 정확하지 않다”고 단서를 붙였다.

금융부채로 인한 부담은 상당히 컸다.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의 67.6%는 ‘원리금 상환이 부담스럽다’고 답했다. 지난해보다 1.1% 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특히 10.7%는 지난 1년 중 원금 상환 또는 이자 지급의 납부 기일을 경과한 적이 있다고 말했다. 납부 기일을 지키지 못한 이유로는 33.1%가 ‘소득 감소 때문’이라고 답했고 ‘자금 융통 차질’(23.6%), ‘이자 또는 원금 상환 부담 상승’(20.5%) 등의 이유도 있었다.

지난해 말 기준인 가구당 평균 소득은 5924만원으로 전년 대비 1.7% 증가에 그쳤다.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기초연금 인상 등으로 공적이전소득(18.3%)이 늘었지만 사업소득(-2.2%)이 줄고 근로소득(0.3%)도 소폭 증가에 그쳤기 때문이다. 다만 소득분배지표는 일제히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6.25배로 1년 전보다 0.29배 포인트 감소했고 지니계수도 0.339로 1년 전보다 0.006 낮아졌다.

세종 나상현 기자 greentea@seoul.co.kr
2020-12-18 18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