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자녀 없는 부부 18.3%… 역대 최대

신생아 자료사진. 서울신문 DB
15일 통계청 신혼부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결혼 5년차 부부 가운데 자녀가 없는 부부는 18.3%였다.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15년만 해도 결혼 5년차 무자녀 부부 비중은 12.9%였지만 2016년 13.7%, 2017년 14.9%, 2018년 16.8%로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난임 등 불가피한 요인과 더불어 스스로 선택해 아이를 갖지 않는 ‘딩크족’이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김진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아무래도 늦게 결혼해서 고연령 산모가 되면 출산 자체가 어려운 부분도 있고, 최근 부부들이 자녀를 갖지 않는 데 따른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가구 특별추계는 전체 가구 가운데 부부 두 사람만으로 이뤄진 부부가구 비중은 2017년 15.8%(309만 가구)에서 2047년 21.5%(479만 4000가구)로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부부+자녀 가구는 2017년 31.4%(615만 가구)에서 2047년 16.3%(363만 가구)로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신혼부부 자체도 줄어드는 추세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최근 5년 이내 혼인신고를 한 국내 거주 신혼부부는 총 126만쌍으로 전년 대비 6만쌍(4.7%) 줄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20-12-16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