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수출 -9.9%… 감소폭 한 자릿수 둔화
2분기 성장률, 속보치보단 0.1%P 상승
“국민소득 줄었지만 1인당 3만弗은 가능”
지난달 수출이 1년 전보다 9.9% 줄었다. 수출은 코로나 충격이 지속되면서 6개월째 내리막을 달렸다. 2분기 경제성장률도 전 분기보다 3.2% 뒷걸음질했다. 올해 역성장이 예상되지만 한국은행은 1인당 국민소득이 3만 달러를 밑돌 가능성은 낮다고 진단했다.1일 산업통상자원부의 ‘8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지난해 같은 달 대비 9.9% 감소한 396억 6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코로나19 여파로 2월 3.6% 증가에서 3월 1.7% 감소로 선회한 뒤 4월 -25.6%, 5월 -23.8%, 6월 -10.8%까지 3개월 연속 두 자릿수 감소율을 보이다 7월 -7.1%에 이어 지난달에도 한 자릿수로 감소폭이 둔화됐다.
지난달은 조업일수가 전년 같은 달 대비 1.5일 적었다. 조업일수 효과를 배제한 일평균 수출 감소폭은 -3.8%로, 코로나19 사태 후 가장 낮았다. 일평균 수출액도 코로나19 이후 처음으로 18억 달러대로 진입했다. 반도체 수출이 2.8% 늘며 2개월 연속 증가했다. 올 1~8월 누계 기준으로도 전년 대비 플러스(0.1%)로 전환됐다.
이날 한은이 발표한 ‘2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2분기 우리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임금·이자·배당 등 모든 소득을 합한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전 분기보다 1.2%,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5% 감소했다. 박성빈 한은 경제통계국 국민계정부장은 “올해 한은의 성장률 전망치 -1.3% 등을 적용하면 명목 GNI 성장률은 연간 -1.0% 정도로 추정된다”며 “올해 1인당 국민소득이 3만 달러 밑으로 떨어질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
올 2분기 경제성장률(잠정치)은 전 분기 대비 -3.2%로 집계됐다. 지난 7월 발표된 속보치(-3.3%)보다 0.1% 포인트 상승했다.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4분기(-3.3%) 이후 11년 6개월 내 가장 낮은 분기 성장률이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20-09-02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