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산후조리원 2주 이용에 최고 2천만원…고비용·지역 편차 심각”

“산후조리원 2주 이용에 최고 2천만원…고비용·지역 편차 심각”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5-29 13:33
업데이트 2018-05-29 13: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비자단체협의회 분석…전국 평균 234만원·서울 314만원

민간 산후조리원의 이용가격이 업체별, 지역별로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가 민간 산후조리원의 이용요금을 분석한 결과, 2016년 기준 산후조리원 전국 평균 이용요금(2주 기준)은 일반실 234만원, 특실 304만원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경우 일반실 평균 이용요금은 전년 대비 17만원(5.6%) 늘어난 314만원, 특실은 54만원(13.2%) 증가한 462만 원이었다. 이는 2016년 소비자물가 상승률(1%)보다 훨씬 큰 증가 폭이다.

서울 지역 산후조리원의 일반실 중 가장 비싼 요금은 960만원, 특실은 2천만원으로 조사됐다.

지역별 평균가격 차이가 가장 큰 곳은 서울과 전남으로, 일반실 이용가격이 168만원까지 차이가 났다.

외부감사 대상으로서 재무자료가 공시되는 민간 산후조리원의 영업이익률은 평균 24.9%, 최대 40.6%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종 서비스업 평균 영업이익률(16.9%)을 훨씬 웃돈다.

산후조리원은 인건비, 임차료 같은 고정비 비용이 대부분이어서 규모가 크고 이용하는 산모 수가 많을수록 수익성이 커진다고 물가감시센터가 설명했다.

전국적으로 민간 산후조리원의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서울과 경기 지역에 편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기준 전국 출생아 수에서 서울과 경기 지역이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18.6%, 26.0%이지만 산후조리원 비율은 25.7%, 30.3%로 출생아 수보다 산후조리원 수가 훨씬 더 많은 상황이다.

반면 경북과 전남은 출생아 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5.1%, 3.5%인데 산후조리원의 비율은 3.8%와 1.7%로 그 수가 부족하다.

서울에서도 산후조리원은 강남구와 강동구에 몰려 있고 용산구, 관악구, 광진구, 마포구, 성북구, 양천구 등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감시센터는 “민간 산후조리원이 이미 높은 가격임에도 새로운 부가 서비스 등을 개발해 지속해서 가격을 인상하고 있다”며 “정부가 특별한 가이드라인 없이 시장논리에만 맡기고 있어 출산을 계획하는 산모들에게 큰 경제적 부담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공 산후조리원 정책에 대한 논의와 함께 민간 산후조리원의 고비용, 비용 격차, 지역적 쏠림 현상에 대해서도 적절한 규제를 시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