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금융 CEO 새해 설문조사] “3% 근접 성장률, 상고하저 경기…금리 하반기 1회 인상할 것”

[금융 CEO 새해 설문조사] “3% 근접 성장률, 상고하저 경기…금리 하반기 1회 인상할 것”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18-01-08 21:52
업데이트 2018-01-09 00: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제 기상 전망

‘올해 한국 국내총생산(GDP)은 3%에 근접한 성장률을 보이고, 기준 금리는 하반기에 한 번 올릴 가능성이 높다. 경기 흐름은 상고하저로, 하반기에 지난해 하반기 경기가 좋았던 탓에 성장률이 다소 둔화할 수 있다’

국내 금융권 최고경영자(CEO)들은 2018년 한국 경제 기상도를 이렇게 그렸다. 서울신문이 국내 50대 금융권 최고경영자(CEO)를 대상으로 2018년 한국 경제 전망을 조사한 결과 68%가 올해 GDP 성장률이 2.5~3.0%를 보일 것이라고 답했다. 20%는 3% 초반대 성장도 가능하다고 예상했다. 2% 초반대 저성장을 예상한 답변은 12%에 그쳤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지난해 10월 보고서에서 2018년 한국 경제가 3% 성장한다고 예상한 것에 비해 낮은 수치이지만, 긍정적인 전망이 대세다. 지난해 하반기의 높은 성장률 탓에 나타나는 ‘높은 기저효과’가 이유로 꼽혔다. 글로벌 호황으로 한동안 순탄한 경기지표가 이어진다고 봤다.

2018년 경기 흐름은 78%가 ‘상고하저’라고 답했다. 상저하고는 18%(9명)에 불과했다. 글로벌 호조세와 정책 기대감, 동계올림픽 개최로 낙관적인 상반기에 비해 하반기에는 한·미 무역마찰이나 한 차례 이상의 금리인상으로 경기 회복이 둔화될 수 있다고 우려한 것이다.

하반기에 반도체 산업 사이클이 하락세로 접어드는 것도 상고하저의 원인으로 손꼽혔다. 선진국의 통화정책 정상화와 미·중 무역 분쟁 격화, 북핵 리스크 등 한국 경제에 부담스러운 이슈가 재점화될 수 있다고 해석했다. 원화 강세와 엔저로 인한 수출둔화와 고금리, 고유가 등 경기 하방 리스크로 경기가 저성장 국면으로 돌아설 위험도 제기됐다.

한국은행의 기준 금리 추가 인상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금리 인상 여부와 경기 추이를 확인한 뒤 신중하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조사에 참여한 금융 CEO들 모두 올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1~2차례에 그칠 것이라고 답변했다. 금리를 한 차례 올린다는 의견이 60%로 가장 많았고, 2차례는 40%가 나왔다. 금리인상을 한 차례 한다면 그 시기는 하반기라는 답변이 85%로 압도적이었다. 6·13 지방선거라는 정치 이벤트 이후라는 의미다. 정부 정책 효과나 대외요인의 영향을 상방기에 지켜봐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한국은행의 3~4월 리더십 교체도 상반기 금리 인상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꼽혔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오는 3월 임기가 만료된다. 4월 금융통화위원회에 참여할 신임 총재가 곧바로 금리를 조정할 가능성은 희박하므로, 한국은행이 3분기쯤 한 차례 금리를 올린다는 전망이다.

주목해야 경제 변수는 2017년 11월 금리 인상이나 정부의 부동산 안정화 정책 이후 가계부채, 국내 물가 등이다. 국내 내수 경기 회복이 미약하고 가계부채가 상승 추세에 있지만, 올해 하반기 주요국 중앙은행이 금리 인상을 본격화하면 한은도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다.

이달 초 이미 원·달러 환율은 1060원대에서 횡보해 수출기업들의 한숨이 커지지만, 올해 말에는 더 떨어진다는 예상이 많았다. 답변의 70%(35명)가 올해 말 원·달러 환율이 1000~1050원대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24%는 1000원 이하로 떨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1000원 후반대를 예상한 답변은 6%(3명)에 불과했다.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2018-01-09 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