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압박에 부담감… “소통 강화”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비정규직 설명 책자인 ‘비정규직 논란의 오해와 진실’ 발간을 보류했다.지난 25일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정책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했다가 정부로부터 호되게 비판을 받은 영향이다.

그러나 경총은 각 회사의 특성이나 근로자의 개별 사정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인 정규직 전환 요구는 현실에 맞지 않는다는 기존 입장은 고수한다는 방침이다.
경총 관계자는 29일 “비정규직 관련 문제를 설명하기 위해 ‘비정규직 논란의 오해와 진실’이라는 책을 조만간 공식 발간하려고 했는데 관련 일정을 미루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책자는 2015년에도 한 차례 출판됐다. 이번에 나오는 책자는 그동안의 변화된 통계 수치와 새로운 사례 등을 담아 지난 3월부터 준비됐으며 42쪽 분량이다. 비정규직의 의미, 현황, 정규직 전환, 원인과 해법 등이 경영계 시각으로 정리됐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공공기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에서의 비정규직은 어떤 근로자들인가요’, ‘사내도급 근로자는 취약계층이고, 그렇다면 비정규직 아닌가요?’ 등 15개의 질문에 경총이 ‘사실은 이렇습니다’라는 설명을 각각 달았다.
국내 5대 경제단체 가운데 하나인 경총은 노사문제를 담당하며 경영계 입장을 대변하고 있다. 앞서 김영배 경총 부회장은 지난 25일 경총포럼에서 “사회 각계의 정규직 전환 요구로 기업들이 매우 힘든 지경”이라며 “논란의 본질은 정규직·비정규직 문제가 아니라 대·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라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6일 “경총도 비정규직으로 인한 사회적 양극화를 만든 주요 당사자 중의 한 축으로서 책임감을 갖고 진지한 성찰과 반성이 먼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진표 국정기획자문위원장도 “재계가 압박을 느껴야 한다”고 경총의 주장을 반박했다. 결국 경총은 “정부 정책을 반대하려는 게 아니라 노사정이 힘을 합해서 일자리 창출과 비정규직 근로자의 처우 개선 등을 위해 노력하자는 뜻이었다”고 곧바로 해명했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2017-05-30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