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은행 출범에 긴장한 시중은행…‘디지털 퍼스트’ 한목소리

인터넷은행 출범에 긴장한 시중은행…‘디지털 퍼스트’ 한목소리

입력 2017-04-03 15:45
수정 2017-04-03 15: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민·신한·하나은행장 “디지털 혁신 강화해야”

국내 최초의 인터넷 전문은행인 케이뱅크가 3일 출범하자 위기감을 느낀 시중 은행장들은 저마다 디지털 금융 전환에 박차를 가할 것을 주문했다.

윤종규 KB국민은행장은 이날 4월 조회사에서 “오늘은 인터넷 전문은행인 케이뱅크가 24시간 365일 영업체제로 업무를 개시하는 날”이라며 “디지털 경쟁자들의 전략은 제대로 서비스를 받지 못한다고 느끼는 고객을 대상으로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민은행은 “경쟁자보다 한발 빨리 의사결정을 하고 고객에게 먼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달 실리콘 밸리와 뉴욕 월가를 방문해 “디지털과 모바일 금융혁명이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빨리 다가오고 있다”는 사실을 절감한 윤 행장은 “KB를 디지털 사관학교로 만들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핀테크 업체와의 협업을 강화하고, 신기술을 신속하게 도입해 제4차 혁명이 도래할 금융권에서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계산이다.

그는 인공지능, 데이터 분석 기술 등 디지털 기술을 모든 업무에 접목해 효율성을 높여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위성호 신한은행장도 이날 창립기념식에서 “앞으로 신한의 경쟁자는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위 행장은 “금융업의 경계가 무너지고 경쟁의 패러다임이 근본적으로 바뀌고 있으니 은행업을 둘러싼 경쟁환경 변화의 본질을 정확히 통찰하고 과감한 혁신을 실행하자”며 디지털 경영을 화두로 내세웠다.

그는 “연결과 확장이라는 디지털의 특성을 활용해 영업 전반의 효율성을 한층 높여가야 한다”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디지털과 글로벌 역량 강화에 힘쓰며, 변화의 흐름에 맞지 않는 과거 방식이나 자료는 과감히 덮고 새롭게 바꿔야 하는 일들은 지금 바로 실행에 옮겨달라”고 주문했다.

함영주 KEB하나은행장도 이날 조회사를 통해 디지털 금융 환경 조성을 위해 비대면 채널과 디지털 마케팅을 확대하고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은행업무의 디지털화를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여신심사나 리스크 관리 등 은행업무의 디지털화를 통해 손님과 함께 성장하는 디지털 은행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