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직급 파괴 실험을 하면서 임직원 간 공통 호칭을 ‘님’으로 통일했지만 현업 부서에서는 여전히 낯설다는 분위기다. 부서 간 메일을 주고받을 때는 원칙대로 ‘님’이라고 써도, 실제 얼굴을 보고 말할 때는 깍듯이 기존 직급으로 부른다는 것이다. 시행 초기라 새로운 제도가 안착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는 게 회사 측 입장이지만 임원들이 솔선수범하지 않으면 ‘도로 삼성전자’가 될 것이라는 게 직원들 생각이다.
14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공식적으로 임직원 간 호칭은 ‘님’이다. 팀장, 그룹장, 파트장뿐 아니라 직책이 없는 담당임원도 ‘님’일 뿐이다. 지난해 6월 삼성전자는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창의적·수평적 조직 문화 조성을 위해 올해 3월부터 일본식 호칭인 ‘부장님’ ‘차장님’ 대신 ‘님’ 또는 ‘프로’, ‘선후배님’ 등으로 부르기로 했다고 밝혔다. 공개적으로 이 같은 사실을 알린 건 그만큼 변화가 절실하다는 판단에서였다. 사내 게시판에는 “우리가 호칭 때문에 수직적 문화가 안 바뀌었느냐”는 비판 글도 올라왔지만, 회사는 내부 캠페인을 벌이는 등 호칭 문화 개선에 힘써 왔다.
문제는 임원들이다. 수원사업장 등 현장에서는 직책이 없는 임원에 대해서도 ‘전무님’ ‘상무님’ 등 직급으로 부르는 것으로 사실상 공식방침을 정했다. 수원사업장의 한 사업부장(부사장)은 최근 임원들을 불러 모은 자리에서 근무기강을 지적하며 “아래(직원들)에 잘 전달하라”고 지시했다. 또 “부장들은 워크스마트에서 제외한다”면서 전사 차원에서 추진하는 제도마저 허용하지 않겠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워크스마트는 직원들이 창의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근무 환경을 유연하게 바꾸는 캠페인으로 주 40시간을 채우면 하루 4시간 근무도 허용하는 자율출퇴근제가 대표적이다. 삼성전자의 한 간부급 직원은 “요즘 들어 과거의 군대식 문화로 돌아가는 것 같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측은 “어색하긴 해도 일부 직원들은 님으로 부른다”면서 “직원들 출근 시간만 봐도 워크스마트 제도는 잘 정착됐다”고 말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7-03-15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