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삼계탕까지…AI와 사드보복에 중국 수출 멈췄다

삼계탕까지…AI와 사드보복에 중국 수출 멈췄다

입력 2017-01-25 07:39
업데이트 2017-01-25 07: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2월 수출, 전월의 8% 수준으로 급감

논란 속 사드 배치 강행
논란 속 사드 배치 강행
조류인플루엔자(AI) 여파로 삼계탕의 중국 수출이 사실상 중단됐다.

AI 발생 지역에서 생산된 삼계탕의 수출이 차단됐고, AI와 무관한 지역에서 만든 제품도 수출이 급감해 끊기다시피 했다.

AI와 함께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 결정에 따른 한한령(限韓令) 등도 수출에 타격을 주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25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식품업계 등에 따르면 중국 정부에 등록된 국내 삼계탕 가공업체 5곳 중 농협목우촌·참프레·교동식품 등 3곳은 AI 관련 검역 조건에 따라 대중국 삼계탕 수출길이 막혔다.

지난 2015년 양국 정부의 삼계탕 수출 검역 조건 합의 당시 중국은 한국산 삼계탕 수입을 허용하되 ‘질병 비발생’ 조건을 달았다.

삼계탕 원료용 닭고기는 AI 등 닭 질병이 생기지 않은 지역에서 생산된 것이어야 하는데, 질병 비발생지역은 AI 등이 발생한 농장으로부터 반경 10㎞ 바깥으로 정했다.

AI 발생 지역 인근에서 생산됐다고 해도 가열해서 먹는 삼계탕은 안전에 이상이 없지만 이 조건에 발목이 잡혔다.

지난달 중국으로의 삼계탕 수출액은 6톤에 못 미치는 5천505㎏ 규모로 전월(7만1천870㎏)에 비해 92.3% 급감했다. 전월의 10분의 1도 안 되는 규모다.

중국으로의 삼계탕 수출이 시작된 작년 6월 이후 최저치며, 그마저도 작년 말부터는 수출 물량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AI에다 현지에서 한국산 삼계탕을 찾는 수요도 없어 수출이 사실상 중단됐다”며 “사드 배치에 따른 직접적인 영향은 없지만 한한령으로 한류드라마 간접광고(PPL) 등 홍보도 적극적으로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림과 사조화인코리아 등 2곳은 수출이 가능하지만 AI로 닭고기 수급이 원활하지 않은 데다 중국에서 검역이 지연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수출 초기에는 검역에 2주 정도 걸렸으나, 최근에는 2달이 넘게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수출 초기에 비해 검역 기간이 상당히 길어졌다”며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통관 절차가 엄격해진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중국 정부 등록 업체에서 삼계탕을 공급받아 현지 판매를 추진한 식품 대기업도 대중 삼계탕 수출을 중단했다.

대상 관계자는 “지난해 8월에 삼계탕 12톤을 중국에 수출했으나 이후에는 AI의 여파로 검역증 발급이 되지 않아 수출이 중단됐다”고 밝혔다.

CJ제일제당은 글로벌 한식 통합브랜드인 ‘비비고’를 앞세워 삼계탕을 판매할 계획이었지만 중국 진출을 보류했다.

AI 발생으로 중국 소비자들이 한국산 삼계탕을 찾지 않고, 현지 유통상들도 한한령 등의 영향으로 한국산 삼계탕 제품 판매를 꺼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 외 현지 제품에 비해 비싼 가격대 등으로 현지 시장 공략에 실패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결국 AI와 사드 배치 영향에다 제품 경쟁력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해 대중 삼계탕 수출이 최대 위기에 처한 셈이다.

정부와 국내 업계는 2006년부터 중국으로의 삼계탕 수출을 추진해왔지만 검역이나 위생 문제가 해결되지 않다가 10년 만인 지난해 수출이 성사됐다.

인기 드라마 ‘태양의 후예’에 등장하고 중국인 단체 관광객의 대규모 ‘삼계탕 파티’가 열리면서 기대를 모았으나 성과는 목표치에 크게 못 미쳤다.

농식품부는 애초 지난해 대중국 삼계탕 수출 목표를 500톤으로 잡았으나 실제 수출량은 190톤에 불과했다. 지난해 수출액은 약 85만 달러 수준이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