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7조원이 넘는 자금이 몰린 ‘효자 상품’ 국내 채권형 펀드에서 지난달 처음으로 자금이 빠져나갔다. 연말 미국 기준금리 인상을 앞두고 채권 시장의 부정적 전망이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채권 시장의 약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10월 한 달 동안 2787억원 이탈
2일 금융정보 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10월 한 달 동안 국내 채권형 펀드에서 2787억원의 자금이 이탈했다. 올해 들어 국내 채권형 펀드에서 자금이 순유출을 기록한 건 처음이다.
국내외 금리 하락세가 지속되면서 연초 이후 국내 채권형 펀드 설정액은 7조원을 돌파한 7조 26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8월엔 한 달 만에 1조 1655억원이 유입되는 등 큰 인기를 끌었다. 수익률도 주식형 펀드에 비해 높았다. 올해 국내 주식형 펀드 수익률이 마이너스(-1.56%)를 기록한 반면 218개 국내 채권형 펀드는 연초 이후 1.76%의 수익률을 올렸다. 최근 1년간 수익률은 2%로 시중은행 금리보다 훨씬 높았다.
● 美 금리인상 전망에 부정적
올해 펀드 시장에서 유일하게 활기가 돌았던 국내 채권형 펀드마저 자금이 이탈한 것은 미국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 때문이다. 미국·유럽 등 선진국 채권 금리가 상승세(채권 가격 하락)를 보이는 점도 영향을 끼쳤다.
문수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저금리 기조에서는 채권 투자로 차익을 얻을 수 있었으나 이제 더이상 채권으로 수익을 내기 쉽지 않다고 판단한 투자자들이 늘고 있다”면서 “연말까지는 장기채 중심으로 채권 시장이 약세를 나타낼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2016-11-03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