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베스트브랜드 대상] 홈플러스

[2016 베스트브랜드 대상] 홈플러스

입력 2016-10-27 10:18
수정 2016-10-27 10: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공정거래문화 정착 등 전사 체질개선 나서

홈플러스가 최근 창립일을 기존 삼성물산과 테스코가 합작한 1999년 5월에서, 홈플러스 1호점(대구점)을 만든 1997년 9월 4일로 수정했다.

홈플러스는 올해부터 ‘빼는 것이 플러스다’라는 캠페인을 통해 기존 가격경쟁 중심의 상품 구조에서 벗어나 대형마트에서 찾아보기 힘든 품질과 가성비를 갖춘 상품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홈플러스 제공
홈플러스는 올해부터 ‘빼는 것이 플러스다’라는 캠페인을 통해 기존 가격경쟁 중심의 상품 구조에서 벗어나 대형마트에서 찾아보기 힘든 품질과 가성비를 갖춘 상품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홈플러스 제공
이는 김상현 사장 취임 이후 대대적으로 벌이고 있는 경영 체질개선의 일환이다. 시장 변화에 따라 새로운 상품, 매장 컨셉트, 시스템은 물론 과거 만연했던 대형마트 ‘갑질’ 문화를 바꾸지 않으면 고객과 사회로부터 외면받을 수밖에 없다는 판단에서다. 또한 ‘생일’까지 바꿔 1997년 초심으로 돌아가는 한편 올해 17살이 아닌 19살의 한층 더 성숙한 모습을 보여주겠다는 의미로도 풀이된다.
이에 품질 관리가 월등히 뛰어난 농가를 ‘신선플러스 농장’으로 육성하고 ▲전북 김제에서 천적농법으로 키운 ‘친환경 파프리카’ ▲국내 유일하게 구기자를 비료로 사용해 재배한 충남 청양 중뫼마을 ‘구기자 토마토’ ▲청산도 깨끗한 바다에서 1000일 이상 양식한 ‘대왕 활전복’ 등을 대표상품으로 키우고 있다.
또한 올해 국내 처음으로 ‘페루 애플망고’ ‘칠레산 체리’ ‘항공 직송 스페인 냉장 돼지 등갈비’ ‘아까우시 와규’ 등을 선보이고 미국 ‘고스트 파인’을 미국 현지 마트보다 싼 1만 8900원에, 명품 중의 명품 ‘피노누아’를 1만원 대에 선보이는 등 가성비 높은 상품을 쏟아내고 있다.
홈플러스는 지난 5월 소위 ‘갑질’ 근절을 위해 ‘무관용 정책’을 수립하고 김상현 사장을 포함한 전 임직원이 서약했다.
임직원과 협력회사 등 이해관계자에게 큰 피해를 주는 행위를 정의하고 위반 행위에 대해서는 무관용 원칙을 적용해 임직원과 협력회사를 보호한다는 취지다. 또한 공정하고 투명한 거래문화 정착을 위해 ‘공개 입찰 제도’도 도입했다. 대형마트 거래 진입장벽을 허물고 경쟁력을 갖춘 회사라면 누구나 거래할 수 있도록 업체 선정 과정을 투명하게 바꿨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