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평택항만에 정박 중인 컨테이너선.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4분기째 0%대의 저성장이 계속되고 있다.
3분기에는 정부의 재정 투입 효과와 건설투자 증가로 0.7% 성장률을 보였지만 4분기(10~12월)에는 ‘김영란법’ 시행의 영향으로 소비가 위축될 것으로 보여 더 낮은 성장률이 예상된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를 보면 3분기 국내총생산(GDP)은 377조 9524억원(계절조정계열 기준)으로 전 분기보다 0.7% 증가했다.
이는 지난 2분기 성장률 0.8%보다 0.1%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이에 따라 GDP 성장률은 지난해 4분기 0.7%를 기록한 이래 4개 분기째 0%대에 머물렀다.
1.2%를 기록했던 작년 3분기를 제외하면 2014년 2분기(0.6%)부터 0%대 성장률이 이어졌다.
올 3분기의 작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2.7%로 집계돼 2분기의 전년동기 대비 성장률 3.3%보다 하락했다.
올 3분기 성장률의 소폭 하락은 개별소비세 인하가 종료되면서 소비증가세가 둔화한 데다 현대자동차 등 자동차업계의 파업,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7 리콜 사태 등이 반영된 결과다.
그나마 정부의 추경 집행과 건강보험급여비가 늘어 정부소비 증가율이 2분기 0.1%에서 3분기엔 1.4%로 상승했다.
부동산 경기 호황으로 건설투자도 3.9%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2분기 3.1%보다 증가속도가 빨라졌다.
반면 개별소비세 인하가 2분기로 끝나면서 2분기 1.0%였던 민간소비 증가율이 3분기엔 0.5%로 떨어졌다.
2분기에 2.8% 증가했던 설비투자는 3분기 -0.1%로 내려앉았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2분기 1.2% 증가에서 3분기 1.0% 감소로 돌아섰다.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 리콜 사태와 현대자동차를 비롯한 자동차업계의 파업으로 운송장비와 전기 및 전자기기 업종의 타격이 컸다.
3분기 제조업 성장률 -1.0%는 2009년 1분기(-2.5%) 이후 7년 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3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0.3%를 기록해 5년여 만에 감소세로 돌아선 2분기에 이어 2분기째 감소세를 지속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