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회, 사장 선임 안건 통과
‘낙하산’ 논란 끝에 대우건설 사장 내정자가 된 박창민(63) 전 현대산업개발 사장이 출발부터 내부 반발에 부딪히는 등 진통을 겪고 있다.
하지만 박 내정자의 선임에 반대하는 노조원들이 오전 10시부터 회의실을 점거하자 서둘러 장소를 옮겼다. 결국 이사회는 대우건설 본사 인근 S타워에서 열렸고 박 내정자의 선임 안건은 통과됐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이사회의 의결에 따라 약 2주 후 신임 사장 선임을 위한 주주총회가 열릴 것”이라면서 “대주주인 산업은행이 대우건설 지분의 절반 이상을 확보하고 있어 박 내정자의 사장 선임에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총은 23일 열릴 예정이다.
사장 선임을 위한 절차는 속도를 내고 있지만 내부 반발은 심상치 않다. 대우건설 노조는 지난 5일 사장추천위원회가 박 내정자를 최종 후보로 정하자 반대 성명을 내고 “산업은행은 처음부터 끝까지 투명한 절차 없이 밀실 인사를 단행했다”면서 “산은 이동걸 회장은 대우건설 사장 선임 과정을 파행으로 몰고 간 책임을 지고 사퇴하라”고 요구했다. 노조 관계자는 “1인 시위와 출근저지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반대 운동을 벌일 것”이라면서 “대우건설이 낙하산 인사 때문에 제2의 대우조선해양이 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건설업계에서도 박 내정자가 대우건설에 연착륙하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박 내정자가 있던 현대산업개발은 국내 시장이 사업의 중심이지만, 대우건설은 올해 수주목표 12조 2000억원 중 해외 비중이 절반(6조원)을 차지한다. 업계 관계자는 “중동이나 아프리카 등은 부족장 풍습이 남아 있어서인지 발주처와 최고경영자(CEO)의 관계가 다른 곳보다 중요하다”면서 “사장이 직접 프레젠테이션을 하는 경우도 있는데, 해외사업 경험이 전무한 박 내정자가 제대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면 내부 분란이 더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가 최종 후보가 되는 과정에서 조직 개편과 외부 인사 영입, 실적·사업 등에 대해 산은과 사전 협의하기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내부 분위기는 더 좋지 않다. 한 직원은 “사장이 되기도 전에 산은과 맺은 MOU가 결국 산은의 말을 잘 듣겠다는 내용”이라면서 “회사는 뒷전이 되는 것이 아닌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6-08-09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