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뒤 주주총회 거쳐 최종 선임…건설업계 “내부 갈등 등 진통 예상”
‘낙하산’ 논란 속에 박창민(63) 전 현대산업개발 사장이 대우건설 새 사장 최종 후보로 결정됐다. 건설업계에서는 낙하산이라는 꼬리표를 단 박 전 사장이 리더십을 발휘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박창민 전 현대산업개발 사장
박 전 사장이 최종 후보가 됐지만 낙하산 논란은 사그라지지 않을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 6월 박영식 현 대우건설 사장과 이훈복 전략기획본부장으로 사장 후보를 압축하고 나서 백지화시킨 것부터가 잘못”이라면서 “낙하산 사장이라는 꼬리표를 쉽게 떼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지난달 20일 2차 공모 최종 후보 선정 과정에서 정치권 유력 인사가 산업은행을 통해 박 전 사장을 사장으로 낙점하도록 압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이 치명적이다. 정치권 낙하산 논란이 일자 대우건설 노조는 박 전 사장에 대해 반대 입장을 강하게 표명했다.
업계에서는 박 전 사장의 대우건설 장악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대우는 건설사로서는 독특하게 사업별 자율성이 강한 조직”이라면서 “수직적 문화에 익숙한 박 전 사장이 대우의 수평적 문화에 잘 적응할지, ‘대우맨’이라는 자존심이 강한 대우건설 직원들이 낙하산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있는 박 전 사장을 따를지 의문”이라고 전했다.
다른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주택사업 중심인 현대산업개발 출신인 박 전 사장이 플랜트 등 해외 사업을 제대로 지휘하기 힘들 것”이라면서 “조직 장악을 위해 자기 사람들을 대거 데리고 올 경우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6-08-06 1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