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주택인허가물량 35만5천여가구…1991년 이후 최대

상반기 주택인허가물량 35만5천여가구…1991년 이후 최대

입력 2016-07-25 11:11
업데이트 2016-07-25 11: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상반기보다 18.4% 증가…지방서 많이 늘어

상반기 주택인허가물량은 35만5천309가구로 작년 상반기보다 18.4% 늘었다고 국토교통부가 25일 밝혔다.

상반기 인허가물량으로는 1991년 이후 최대치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16만4천111가구로 작년보다 2.2%, 지방이 19만1천198가구로 37.0% 증가했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가 24만8천133가구, 아파트 외 주택이 10만7천176가구 인허가를 받아 작년보다 각각 27.5%와 1.7% 늘었다.

국토부는 작년부터 인허가를 추진해온 사업장이 상반기 인허가를 받으면서 상반기 인허가물량이 작년에 견줘 늘었다고 설명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주택시장이 호황이던 작년부터 기본설계·지자체 협의 등 인허가절차를 진행하던 사업장이 올해 인허가를 받으면서 4월까지 (인허가물량이) 작년 대비 두 자릿수 퍼센트로 늘었으나 이후 증가세가 둔화했다”고 설명했다.

주택공급에서 인허가 다음 단계인 분양·착공물량은 작년보다 감소했거나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상반기 아파트 등 공동주택 분양(승인)물량은 20만6천338가구로 작년보다 5.3%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분양물량이 9만3천61가구, 지방이 11만3천277가구로 각각 10.8%와 0.1% 감소했다.

유형별로는 일반분양물량이 15만3천905가구로 6.0% 줄어든 반면, 재건축·재개발·지역주택조합 등의 조합원 분양물량이 1만5천280가구로 13.7% 늘었다.

작년과 올해 상반기 서울 강남 등을 중심으로 재건축·재개발사업이 활발히 추진됐기 때문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올해 들어서는 분양물량이 큰 폭으로 감소할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지만, 예상보다 분양시장이 호조를 보이면서 (분양물량이) 소폭만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상반기 착공물량은 29만9천493가구로 작년보다 3.7% 늘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14만4천991가구로 0.8% 줄었고 지방은 15만4천502가구로 8.3% 증가했다.

아파트는 19만5천176가구, 아파트 외 주택은 10만4천317가구 착공돼 각각 4.3%와 2.5% 늘었다.

상반기 준공물량은 24만2천673가구로 작년보다 28.0% 증가했으며 수도권이 12만1천311가구, 지방이 12만1천362가구로 각각 32.2%와 15.9% 늘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