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이 3조원 규모의 원유 생산 플랜트 제작에 나선다. 카자흐스탄의 텡기즈 유전 확장 프로젝트가 본격 가동되면서다. 총 제작 물량만 약 24만t으로 3년치 일감을 확보하게 됐다.
대우조선은 최근 셰브론, 엑슨모빌 등 다국적 석유회사들로 구성된 텡기즈셰브로일(TCO)이 카자흐스탄 유전 프로젝트에 대해 최종 투자 결정을 내렸다고 18일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368억 달러 규모다. 최근 유가 반등에 따른 투자 재개 신호탄으로 읽힌다.
카스피해 동쪽 10km 부근에 위치한 카자흐스탄 텡기즈 유전 현장. 셰브론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카스피해 동쪽 10km 부근에 위치한 카자흐스탄 텡기즈 유전 현장. 셰브론 제공
대규모 유전 공사가 시작되면서 수주 가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우조선도 한시름 놓게 됐다. 대우조선은 2014년 TCO로부터 27억 달러(약 3조원)에 달하는 생산설비 모듈 제작 공사를 수주했다. 유정제어, 원유처리시설 등에 들어가는 90여개 모듈을 생산하는 작업으로 앞으로 3년가량 소요된다. 제작은 옥포조선소와 자회사인 신한중공업이 맡는다. 2020년 인도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의 상세설계, 대형장비 구매, 현지 설치공사는 발주처가 책임을 진다. 대우조선은 모듈의 제작만 신경쓰면 되기 때문에 설계 변경 등에 따른 부담을 지지 않아도 된다. 계약가도 공사 물량이 증가하면 연동돼 증액하는 방식이다. 기존에 턴키 공사로 수주했던 해양플랜트 공사에 비해 손실 위험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1차 선수금으로 1억 3000만 달러(약 1500억원)를 받는다.
정성립 대우조선 사장은 “최근 해양 공사 물량의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기자재 업체와 협력사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 “철저한 준비와 실행으로 회사에 대한 시장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분위기 반등의 기회로 삼겠다”고 말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