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글로벌 금융시장 40% 점유… 한·EU FTA 재협상 등 불가피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12일 “영국이 EU에서 탈퇴를 하게 되면 지난해 ‘그리스 디폴트 사태’ 때와는 비교도 할 수 없을 만큼 큰 충격이 세계 경제를 뒤흔들 것”이라며 “오는 23일(현지시간) 브렉시트가 통과될 경우에 대비해 세계 금융시장을 면밀히 스크린하면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가 브렉시트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것은 영국이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절대적인 영향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1250억 파운드(약 210조원) 규모의 영국 금융산업은 세계 외환 및 주식, 파생상품 거래의 40%를 점유하고 있다. 특히 외환 거래, 은행 대출, 국제 채권 거래, 장외 파생상품 거래, 해상보험료 수입 등에서 세계 1위다.
김흥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유럽팀 선임연구위원은 “브렉시트는 전 세계 외환시장과 금융시장에서 불확실성을 증가시켜 한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의 금융시장이 동요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특히 파운드화 및 유로화의 약세로 이어질 것이 확실한데, 이것이 원화 동반 약세와 외국자본 유출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브렉시트는 금융시장뿐만 아니라 한·EU 및 한·영 간 교역에도 악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영국이 EU를 탈퇴하면 EU 조약에 따라 2년 내에 한·EU 자유무역협정(FTA)의 재협상과 한·영 FTA 협상을 완료해야 한다. 이에 따른 불확실성 때문에 교역 위축의 가능성이 크다.
기재부 관계자는 ‘브렉시트의 실제 영향은 미미할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해 “영국의 EU 탈퇴가 현실화되면 지난해 그리스의 디폴트 선언 때 눈치만 살폈던 프랑스와 이탈리아도 이에 동참하려 들 가능성이 크다”면서 “이는 달러화 다음의 기축통화인 유로화의 신뢰도를 급격하게 떨어뜨려 세계 금융시장에 큰 혼란과 충격을 안길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이 금리 인상을 늦추고 있는 주된 이유 중 하나가 바로 브렉시트를 둘러싼 불확실성”이라고 덧붙였다.
세종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6-06-13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