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입후보자 중 세금 체납자 101명…평균 119만원

총선 입후보자 중 세금 체납자 101명…평균 119만원

입력 2016-04-07 17:30
수정 2016-04-07 17: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제20대 총선에 나선 지역구·비례대표 후보자 1천102명 가운데 최근 5년간 세금을 체납한 후보자가 101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납세자연합회는 7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국회의원 후보자의 납세실적 공개 현황 분석과 개선방안’이라는 포럼에서 전체 총선 후보자들의 납세실적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납세자연합회의 분석 결과 후보자 본인이 체납한 경우는 101명으로, 평균 119만원 수준이었다.

이 가운데 지역구 후보가 944명 가운데 9.6%인 91명으로 평균 99만원을 체납했다.

비례대표 후보는 158명 가운데 10명(6.3%)이 세금을 체납했으며, 금액은 평균 237만원 수준이었다.

가족 중에 체납자가 있는 경우를 포함하면 체납 후보자는 146명으로 늘어나고, 체납 금액도 199만원으로 늘어난다.

지역구 후보가 129명으로 평균 152만원을 체납했고, 비례대표 후보 중에서는 17명이 평균 478만원을 체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5년간 1천만원 이상의 체납세액이 있는 후보자도 13명에 이르렀다.

정당별로는 국민의당이 가족 전체를 기준으로 가장 많은 45명의 체납 후보자가 있었다. 체납액은 평균 545만원이었다.

이어 새누리당이 36명의 체납 후보자를 출마시켰고, 더불어민주당은 29명의 후보자가 체납 경력이 있었다.

평균 체납세액은 더불어민주당이 136만원, 새누리당이 28만원이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에 22명의 체납 후보자가 출마했고 서울시(21명), 경상남도(9명) 순으로 많은 체납자가 후보로 등록했다.

세종시와 전라남도의 경우 각각 5명, 52명의 후보자가 출마했으나 체납자는 없었다.

한편, 총선 후보자 중 납세액이 전혀 없는 후보자는 전체의 5.3%인 58명이었다.

한국납세자연합회는 “국민의 기본 의무인 납세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후보자가 국민의 조세부담과 직결되는 입법활동을 펼치는 당선인이 된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서울시의회 제1기 시민권익위원회 위원 위촉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6월 27일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개최된 ‘제1기 시민권익위원회’ 위촉식 및 제1차 전체회의에서 시민권익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됐다. 서울시의회 시민권익위원회는 ‘서울시의회 민원 처리에 관한 조례’에 따라 설치된 기구로, 민원 처리의 전문성과 공정성 강화를 목표로 운영된다. 이번 제1기 위원회는 서울시의회 내부위원 15명과 외부위원 7명으로 구성됐으며, 외부위원으로는 대학교수, 국회입법조사처 팀장, 변호사, 회계사, 기업 전문가 등 각 분야 전문가가 참여해 실질적인 민원 해소와 제도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위원 임기는 2025년 6월 27일부터 2026년 6월 26일까지다. 첫발을 내디딘 서울특별시의회 시민권익위원회는 ▲의회 민원처리 종합계획 수립 ▲의회신문고 운영·관리 ▲서울시 및 서울시교육청 민원현황 분석 ▲현장 민원조사 ▲주요 시책사업과 관련한 민원 대응 ▲관련 법·자치법규 개선 자문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박 의원은 평소 “안 된다, 어렵다”는 관행적 민원 응대에서 벗어나 “된다, 해보겠다”는 적극행정을 강조하며, 강동지역 민원 해결사로서 주민과 행정 사이의 가교 역할을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서울시의회 제1기 시민권익위원회 위원 위촉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