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부터 채용·투자 고민까지 공유… 200개 벤처들 ‘경계의 틀’ 허물다

정보부터 채용·투자 고민까지 공유… 200개 벤처들 ‘경계의 틀’ 허물다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16-03-22 00:34
수정 2016-03-22 00: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판교 스타트업 캠퍼스 첫 개소

“함께 있어서 좋다.”

처음 문을 여는 경기 성남시 판교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캠퍼스. 많은 기업이 모여 있는 사무실 건물이라고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사방이 거의 유리벽이다. 캠퍼스 곳곳에 입주사들이 쓸 수 있는 회의실과 휴게공간 등이 아낌 없이 마련돼 있다.

이미지 확대
경기 성남시 판교 스타트업 캠퍼스 입주사인 셈스게임즈 안정훈 대표이사가 21일 스마트폰을 확장한 화면에서 장난감을 조립하는 과정을 보여 주고 있다.
경기 성남시 판교 스타트업 캠퍼스 입주사인 셈스게임즈 안정훈 대표이사가 21일 스마트폰을 확장한 화면에서 장난감을 조립하는 과정을 보여 주고 있다.


이미지 확대
캠퍼스 곳곳에는 언제라도 회의를 할 수 있는 공간들이 마련돼 있다.
캠퍼스 곳곳에는 언제라도 회의를 할 수 있는 공간들이 마련돼 있다.
21일 정오에는 막바지 정리 작업을 하던 50여개 입주사 관계자들이 모여 피자 파티도 열었다. 각자 편한 자리에 앉아 가벼운 사업 구상부터 외국인 채용 문제까지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를 나눴다.

사운드메이트의 개발자 이정준(26)씨는 “다른 기업들은 어느 정도 진척됐는지 서로 격려할 수 있고 시장 진출 시 어려움 등을 공유할 수 있어서 좋다”며 “여러 스타트업들이 함께 있다 보니 정부 과제나 투자 등 최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라고 말했다. 사운드메이트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한 음악 공유 사업을 준비 중이다.

또 다른 입주사인 사이의 사장 박문수(39)씨는 “스타트업 캠퍼스에 입주하면서 가장 기대되는 것이 멀리 나가지 않고도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정보”라고 밝혔다.

사이는 모바일을 이용해 영화나 드라마에 세계 각국 언어로 자막을 입히거나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셈스게임즈의 안정훈(37) 대표이사는 “글로벌 서비스가 목표인데 해외에 진출할 때 정보도 부족하고 참여할 기회가 적어 어려움을 겪던 중 스타트업 캠퍼스에 입주하게 됐다”며 기대를 드러냈다. 셈스게임즈는 스마트폰에서 장난감을 조립하고 완성한 장난감을 주문하면 3D프린터로 만들어 배송해 주는 사업을 준비 중이다.

판교 스타트업 캠퍼스는 미래부와 경기도가 힘을 합쳐 2013년 착공해 지상 8층 건물 2개와 지상 5층 건물 1개 등 총 3개 동으로 조성됐다. 3개 동은 연구동, 실험동, 공동연구동으로 나눠져 각각의 특징에 맞는 스타트업 기업이 입주하게 된다. 200개 정도 기업이 입주할 계획이다. 이들을 육성하기 위해 이스라엘의 글로벌 벤처 육성 기업인 요즈마 그룹, 독일 소프트웨어업체인 SAP 등 글로벌 기업들도 참여했다.

앞서 지난해 5월 ‘캠퍼스 서울’을 마련한 구글은 현재 8개 스타트업에 공간을 지원하고 있다. 아산나눔재단도 2014년 4월부터 ‘마루 180’을 통해 30여개 스타트업 공간을 지원하고 있다.

글 사진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6-03-22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