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가계부채 증가 속도 신흥국 중 1위…“중국 다음으로 빨라”

韓 가계부채 증가 속도 신흥국 중 1위…“중국 다음으로 빨라”

이슬기 기자
입력 2016-03-21 13:49
수정 2016-03-21 13: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돈 빌려드립니다” 요란한 현수막  새마을금고, 저축은행, 신협 등의 주택담보대출 등이 급증하면서 2분기 가계빚은 876조원을 넘어섰다. 22일 남대문 시장에는 한사람당 30억원까지 대출해준다는 새마을금고의 광고 현수막이 걸려 있다.  류재림기자 jawoolim@seoul.co.kr
“돈 빌려드립니다” 요란한 현수막
새마을금고, 저축은행, 신협 등의 주택담보대출 등이 급증하면서 2분기 가계빚은 876조원을 넘어섰다. 22일 남대문 시장에는 한사람당 30억원까지 대출해준다는 새마을금고의 광고 현수막이 걸려 있다.
류재림기자 jawoolim@seoul.co.kr
지난해 한국의 가계부채 증가 속도가 신흥국 가운데 중국 다음으로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년 사이에 3%포인트 넘게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21일 국제금융협회(IIF)가 지난주 발표한 3월 ‘신흥시장 부채 모니터’ 자료에 따르면 19개 신흥국 가운데 2015년 한 해 동안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의 상승폭이 가장 큰 국가는 중국으로 3.59%포인트에 달했다.

한국은 3.45%포인트를 기록해 그 뒤를 이었으며 사우디아라비아, 말레이시아 등도 빠른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19개 신흥국 가운데 1년 사이에 이 비율이 하락한 곳은 헝가리, 터키, 러시아, 체코, 인도네시아 등 5개국에 불과했다.

대다수 신흥국의 가계부채가 증가한 것이다.

IIF는 작년 한 해 신흥국의 가계 부채가 3천350억달러(약 389조 4천375억원)가 늘어나 8조달러(약 9천300조원)를 넘어섰다고 말했다. 이는 GDP 대비 35%로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15~20%)의 두 배 수준이다.

많은 신흥국의 가계가 초저금리를 활용해 차입에 나서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작년 가계부채가 특히 많이 증가한 지역은 신흥 아시아로 2014년 말 GDP의 38.5%에서 2015년 말 40%를 웃돌았다고 IIF는 말했다. 반면 신흥 유럽은 가계 부채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IIF는 전체적으로 신흥국의 가계부채 증가세가 실물 경제 성장세를 앞서고 있다며 특히 GDP 대비 가계부채 신용 갭(부채가 추세를 벗어난 정도)으로 볼 때 말레이시아(9.30%포인트), 태국(8.69%포인트), 중국(6.03%포인트) 등이 모두 6%포인트를 웃돌았다고 지적했다.

한국도 0.57%포인트로 플러스를 기록, 가계 부채 증가세가 경제 성장세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흥국의 1인당 평균 가계부채는 작년 말 기준 3천65달러로 인도가 250달러로 가장 낮았으며, 싱가포르가 4만2천달러로 가장 높았다. 한국은 2만9천달러(약 3천371만원)로 싱가포르, 홍콩 다음으로 많았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핫뉴스][단독/안철수 인터뷰] “총선은 친박·친문과의 대결… 수권 정당 위해 내 돈 쓴다”

[핫뉴스][단독] 이사회 비판 성명 냈다고… 원로 교수 해임한 건국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