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는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발 빠른 행보를 이어 가고 있다. 그중 가장 눈에 띄는 분야가 기업간거래(B2B)다. LG는 ▲차별화된 기술력과 시너지 역량 ▲높은 수율의 생산 체제 ▲고객 신뢰를 바탕으로 한 자동차 부품과 에너지 사업을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집중 육성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지난해 11월 경기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에너지대전에서 LG화학의 전기차용 배터리가 실린 자동차 모형을 관람객이들 둘러보고 있다. LG화학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지난해 11월 경기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에너지대전에서 LG화학의 전기차용 배터리가 실린 자동차 모형을 관람객이들 둘러보고 있다. LG화학 제공
자동차 부품 사업에서는 LG전자와 LG디스플레이, LG화학, LG이노텍, LG하우시스 등 각 계열사의 역량을 총집결한다. LG전자는 미국 GM의 차세대 전기차에 구동모터 등 11종의 핵심 부품을 공급하고, LG화학은 세계 10대 완성차 업체 중 6곳을 고객사로 확보했다. LG의 자동차 부품 사업 매출은 지난해 4조원을 넘어선 데 이어 올해 5조원을 내다본다.
에너지 사업에서는 친환경 에너지 생산(태양전지 모듈·연료전지 발전 시스템) 및 저장(ESS), 효율적 사용(시스템에어컨 등) 및 관리(EMS)에 이르는 토털 에너지 솔루션 역량을 구축했다. 특히 LG화학의 세계 1위 ESS용 배터리와 LG전자의 고효율 태양전지 모듈이 든든한 기반이다.
LG는 신성장 사업을 키우기 위해 과감하고 선제적인 투자를 이어 간다. LG디스플레이는 세계 최대 규모 올레드(OLED·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 생산공장 건설에 3년간 모두 10조원을 투자한다. LG전자는 5272억원을 투자해 태양전지 생산라인 6개를 신설, 모두 14개로 확대한다.
2016-02-25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