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걸리 일본수출 ‘부진의 늪’…전성기의 12% 수준

막걸리 일본수출 ‘부진의 늪’…전성기의 12% 수준

입력 2016-01-11 09:29
수정 2016-01-11 09: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엔저·주류유행 변화에 급감…중국·대만 등 새 시장 탐색

불과 수년전까지만 해도 일본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어 수출에 날개를 달았던 막걸리가 수출 부진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11일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와 업계에 따르면 2000년대 후반부터 한류와 엔고(円高)를 타고 일본에서 막걸리가 인기를 끌면서 막걸리 일본 수출액은 2009년 540만달러, 2010년 1천558만5천달러, 2011년 4천841만9천달러로 가파르게 증가했다.

일본으로 막걸리를 수출한 금액은 2년새 8배 넘게 늘어나는 기염을 토하면서 2011년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일본에서 막걸리가 뜨기 시작하자 역으로 국내에서도 막걸리에 대한 재평가가 이뤄졌다.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불어닥친 불황에 국내에서 소주, 맥주, 위스키, 와인 등 주류 판매가 급감했지만 유독 막걸리만 호황을 누리기도 했다.

그러나 일본 내 ‘막걸리 붐’의 원동력이었던 한류가 침체하고 엔고가 엔저(円低)로 바뀌면서 막걸리 전성기는 금세 막을 내렸다.

막걸리 일본 수출액은 2011년 정점을 찍고서 2012년 3천199만달러, 2013년 1천362만5천달러, 2014년 914만8천달러, 2015년(1∼11월) 600만1천달러로 줄었다. 4년만에 수출 규모가 약 8분의 1 수준(12.4%)으로 감소했다.

일본 주류 유행 변화도 막걸리 소비 부진에 영향을 미쳤다. 막걸리 주 소비층이던 여성과 젊은 층 사이에서 저알콜·무알콜 주류, 위스키에 탄산수를 타서 마시는 ‘하이볼’ 등이 인기를 얻었기 때문이다.

막걸리 최대 수출처인 일본으로의 수출이 줄면서 지난해(1∼11월) 전체 막걸리 수출액은 1천168만1천달러로 2011년(5천273만5천달러)보다 77% 감소했다. 전년 같은기간(1천395만8천달러)와 비교해도 16.3% 줄어든 실적이다.

전체 막걸리 수출액에서 일본 수출액 비중도 2011년 91.8%에서 지난해 51.4%로 떨어졌다.

막걸리 일본 수출의 흥망성쇠는 국내 막걸리 산업 전반을 쥐고 흔들었다. 짧지만 화려했던 전성기 후 찾아온 수출 부진으로 국내 막걸리 생산도 하락세다.

통계청 광업제조업조사에 따르면 국내 막걸리 생산량은 수출 붐을 타고 2009년 21만4천69㎘, 2010년 38만7천724㎘, 2011년 44만3천151㎘으로 2년새 약 2배로 증가했다.

그러다가 막걸리 생산량은 금방 감소세로 돌아서 2012년 41만6천94㎘, 2013년 38만3천395㎘, 2014년 37만6천696㎘로 줄곧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이제 막걸리 업계는 일본이 아닌 다른 나라로 눈을 돌려 수출 시장을 다변화하는 데 주력한다.

실제로 홍콩(2011년 3만9천달러→2015년 45만5천달러)과 대만(1만6천달러→16만7천달러)으로의 수출이 아직 규모는 크지 않지만 각각 10배 가까이 늘어나는 등 고성장하는 추세다.

이 기간 일본에 이어 막걸리 수출 2위국인 중국으로의 막걸리 수출도 127만2천달러에서 184만3천달러로 44.9% 증가했다.

국순당 관계자는 “쌀을 소비해 쌀에 대한 인식이 높은 홍콩, 대만, 싱가포르 등에서 막걸리 시장 성장률이 높다”며 “생막걸리나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저알코올 RTD(Ready to Drink) 제품이 인기를 끈다”고 말했다.

수출 부진에도 여전히 일본은 한국이 막걸리를 가장 많이 수출하는 나라여서 막걸리 업계 입장에서는 포기할 수 없는 시장이다.

이 때문에 업계는 3%대 저도주에 요구르트·포도 등 다양한 맛을 첨가한 막걸리를 일본에 출시하는 등 현지 주류 트렌드에 맞춰 수요 창출에 힘쓰고 있다.

전통주 주무 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는 ‘제2의 막걸리 수출붐’을 조성한다는 취지로 일본 도쿄(東京) 신주쿠(新宿) 일대에서 현지 한국 식료품 판매점과 연계해 ‘막걸리 팝업스토어’ 등 막걸리 판촉 행사 정례화를 추진 중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막걸리수출협의회 등과 팝업스토어 장기 운영을 위한 협의를 하고 있다”며 “활성화를 위해 국내에서 10월에 열리는 ‘막걸리 페스티벌’ 등의 행사와 연계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4일 정책간담회를 개최한 후 주민소환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8년간 전국적으로 투표까지 진행된 사례가 11건에 불과하며, 해임이 확정된 경우는 단 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2019년 은평구의회 의원 소환 청구 외에는 소환 투표로 이어진 사례가 전무하여 제도의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주민소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과도한 서명 요건, 부족한 정보 접근성, 그리고 불투명한 행정 처리가 꼽힌다. 청구서 제출부터 서명부 발급, 현장 서명 과정의 번거로움은 시민 참여를 저해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명부 지참이나 서식 작성 오류 시 서명 무효 처리 등은 불필요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의 경우 유권자의 10%인 약 82만 5000명의 서명과 더불어 서울시 25개 구 중 9개 구 이상에서 각 구의 10% 이상을 확보해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