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3~5년 내 갚을 땐 변동금리가 유리

3~5년 내 갚을 땐 변동금리가 유리

입력 2015-01-18 23:56
업데이트 2015-01-19 04: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택담보금리 2%대… 대출 갈아타기 해볼까

서울에 사는 맞벌이 직장인 장모(33)씨는 올 전세 기간 만료를 앞두고 고민 중이다. 재계약 시기를 앞둔 상황에서 집주인이 “8000만원만 더 내고 아예 이참에 집을 사라”고 권유하고 있어서다. 2년마다 이사 걱정하랴, 오른 전세금 구하랴 고민 중이던 장씨가 은행에 알아보니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연 3%가 무너졌다. 반면 전세자금 금리는 연 3.6% 내외다. 장씨는 “이 기회에 내 집 마련을 해 볼까 생각 중”이라고 말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마지노선으로 여겨졌던 3%가 무너졌다. 3년 후 변동금리로 전환하는 외환은행의 고정금리대출 최저금리는 지난 7일 2.98%로 떨어진 후 매일 하락, 15일에 2.85%까지 내려갔다. 하나은행의 고정금리대출 금리도 지난 10일 3% 선이 무너진 뒤 15일에는 2.92%까지 떨어졌다. 우리은행 고정금리대출과 변동금리대출의 최저금리도 모두 3% 아래로 내려왔다.

이에 따라 주택담보대출을 갈아타야 할지에 대한 관심이 부쩍 늘고 있다. ‘대출 갈아타기’로 결정해도 걱정이다. 낮아지는 대출금리를 생각하면 변동금리가 매력적이다.

하지만 이미 금리가 바닥을 쳤다는 인식이 팽배한 데다 미국의 금리 인상도 예정돼 있다. 이럴 경우 시중금리가 오를 수 있으니 고정금리가 안전하다는 의견도 있다. 금융소비자들이 상황에 따라 고려해야 할 만한 유의점들을 짚어봤다.

●상환기간 따라 달라

은행권과 자산운용전문가 등에 따르면 3∼5년 안에 대출을 다 갚을 계획이면 변동금리를, 상환기간이 5년 이상이면 고정금리 대출을 받는 것이 유리하다. 당분간 현재의 저금리 추세가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인 데다 추가 금리 인하 얘기도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변동금리가 고정금리보다 0.3∼0.5% 포인트가량 낮다는 점도 고려 대상이다.

반면 상환기간이 5년 이상이면 경제 상황의 불확실성과 위험을 예측하기 어려운 만큼 고정금리 대출을 선택하는 편이 낫다. 더욱이 금융당국이 최근 단기·변동금리 위주의 주택담보대출을 장기·고정금리로 유도하는 정책을 펴고 있어 이자 등 조건이 좋은 고정금리 상품이 있는지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당국은 올해 초 3% 초반대 고정금리 대출이 출시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정부가 내놓은 대환상환을 이용하면 중도상환수수료도 면제받는다.

●수수료 고려하고 주거래은행 이용

2년 전 한 시중은행에서 사업자금 조달을 위해 연 3.5% 고정금리로 2억원의 주택담보대출을 받았던 중소기업 사장인 김모(45)씨의 사례도 눈여겨볼 만하다. 변동금리가 최저 연 2.8%까지 떨어져 연간 140만원의 이자를 아낄 수 있었지만 김씨는 결국 대출을 갈아타지 않았다. 3년 안에 대출을 갈아타면 중도상환수수료 140만원(0.7%)을 물어야 해서다. 더욱이 대출액이 4000만원을 넘어 인지세 7만 5000원과 채권 매입 비용 9만 1000원까지 내야 했다. 대출을 1년 안에 갚을 계획이었던 김씨는 6개월 내 미국의 금리 인상에 따른 국내 시중금리 인상 가능성 등을 고려해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

다만 시중은행은 금리가 그대로이거나 더 내릴 거라고 보고 장기 대출자에게도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을 권유하는 편이다. 일단 상황을 지켜보고 나서 중도상환수수료가 면제되는 3년째에 고정금리로 갈아탈지 결정해도 늦지 않다. 또 은행 대부분이 중도상환수수료를 내릴 방침이라는 점도 변수다.

전문가들은 무조건 최저금리라는 말에 현혹돼 섣부른 판단을 하지 말고 주거래 은행을 최대한 활용하라고 조언했다. 각종 금리 비교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 움직이기보다는 우선 자신의 주거래 은행을 찾아 거치·상환 기간, 수수료 등에 대해 차근차근 상담을 받아 보라는 것이다. 박상민 국민은행 강남스타PB센터 PB팀장은 “급여, 아파트관리비, 휴대전화요금 등의 자동이체 여부에 따라 최대 0.3% 포인트의 우대 금리 인하를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5-01-19 16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