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복지 등 의무지출 비중 매년 확대…2017년 50% 넘는다

복지 등 의무지출 비중 매년 확대…2017년 50% 넘는다

입력 2014-11-12 00:00
업데이트 2014-11-12 07: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재정, 경기 대응력 약화…정부 실제 조정 가능한 지출 36%

법정 복지지출의 지속적인 증가로 정부의 의무지출이 전체 재정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7년부터 5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됐다.

정부가 경기 상황에 맞춰 사용할 수 있는 재량지출의 비중은 줄어들게 돼 재정의 경기 대응 능력은 약화된다.

재량지출 중에서 인건비, 국방비 등 경직성 지출을 고려하면 실제로 정부가 재량으로 조정 가능한 비경직성 재량지출 비중은 올해 36%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됐다.

12일 정부의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르면 2014∼2018년 총재정지출은 2014년 355조8천억원, 2015년 376조원, 2016년 393조6천억원, 2017년 408조4천억원, 2018년 424조원으로 매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이 가운데 복지 등 의무지출은 2014년 167조2천억원, 2015년 174조원, 2016년 192조2천억원, 2017년 205조1천억원, 2018년 219조6천억원으로 증가한다.

의무지출의 연평균 증가율은 7.1%로 총지출 증가율(4.5%)의 1.6배에 달한다.

총지출 대비 의무지출 비중은 2014년 47.0%에서 2015년 46.3%로 낮아졌다가 2016년(48.8%)부터 다시 증가해 2017년(50.2%)에는 50%를 넘어선다. 2018년 의무지출 비중은 51.8%로 증가한다.

의무지출 비중의 증가는 재량지출 비중의 감소를 뜻한다. 재량지출 비중은 2014년 53.0%, 2015년 53.7%, 2016년 51.2%, 2017년 49.8%, 2018년 48.2%로 낮아진다.

국회예산정책처는 “복지분야 의무지출이 증가해 총지출 대비 의무지출 비중이 2017년 50%를 넘어서게 된다”면서 “2014∼2018년 복지지출의 연평균 증가율은 8.4%로 총지출 증가율보다 3.9%포인트 높다”고 설명했다.

예산정책처는 “복지지출은 공적연금(11.0%), 기초연금(15.0%), 건강보험 및 노인장기요양보험(6.8%) 등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두드러진다”고 덧붙였다.

한국이 고령사회에 진입하면 공적연금, 기초연금, 건강보험 등을 중심으로 의무지출이 빠르게 증가해 재정의 신축성과 경기 대응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는 의미다.

재정의 중요한 목적 중 하나가 고용과 소득 등 경기 관리라는 점을 고려하면 의무지출 비중 증가가 경기 관리에 대한 재정의 역할을 축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재량 지출 중에서 인건비, 국방비 등 경직성 지출을 제외한 비경직성 재량지출 비중은 40%에도 미치지 못한다.

예산정책처는 2014년 기준으로 비경직성 재량지출 비중은 36.9%라고 분석했다.

정부가 실제 재량으로 경기 관리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지출의 비중이 36% 정도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예산정책처는 “의무지출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며 “신규 복지제도가 도입될 때마다 중장기적으로 재정지출, 재정수지, 국가채무 등 재정 총량에 미칠 영향을 분석해 도입 여부와 초기 사업규모를 결정하는 절차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선거와 관련해 경쟁적으로 복지제도의 공약이 이뤄지고 선거 이후 의무지출이 증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를 사전에 제어할 수 있는 선거 공약 비용추계 등과 같은 제도가 필요하다”고 예산정책처는 덧붙였다.

네덜란드와 호주 등은 선거공약에 대한 비용추계를 실시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