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 졸업후 평균 1년 ‘백수생활’…18%는 “그냥 쉰다”

청년층 졸업후 평균 1년 ‘백수생활’…18%는 “그냥 쉰다”

입력 2014-07-15 00:00
수정 2014-07-15 13: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청년층(15~29세)이 학교를 중퇴·졸업한 후 첫 일자리를 잡을 때까지 1년의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55~79세의 고령자 10명 중 6명은 생활비에 보탬이 되고자 일을 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은 이런 내용 등을 담은 ‘청년층 및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를 15일 공개했다.

◇ 졸업후 백수 기간 8년만에 최장

지난 5월 기준으로 청년층 인구는 950만7천명, 경제활동참가율은 44.3%, 고용률은 40.5%를 기록했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시험 준비자는 66만1천명으로 12.5%를 차지했다.

대졸자(3년제 이하 포함)의 평균 졸업 소요기간은 4년1개월, 휴학경험 비율은 42.7%였다.

4년제 대졸자의 평균 졸업 소요기간은 5년2개월(남 6년4개월, 여 4년4개월), 휴학자의 평균 휴학기간은 2년4개월(남 2년8개월, 여 1년4개월)이었다.

청년층 인구 중 직업교육(훈련) 경험자 비율은 16.1%였다. 직업교육을 받은 곳은 사설학원으로 62.1%였다.

취업시험 준비분야는 일반직공무원이 28.0%로 가장 많았고 일반기업체 25.5%, 기능분야 자격증 및 기타가 21.4%로 뒤를 따랐다.

첫 취업까지 소요기간은 평균 12개월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개월 늘었다. 이는 2006년 5월 이후 8년 만에 최장기간을 의미한다.

1~2년이 소요된 졸업·중퇴생은 11.1%, 2~3년은 5.8%, 3년 이상이 걸리는 경우도 9.3%였다.

미취업자 32.0%는 직업교육이나 취업시험 준비, 15.4%는 구직활동으로 시간을 보냈지만 육아·가사나 그냥 쉬는 사람도 각각 19.3%, 18.5%를 차지했다.

첫 일자리를 그만둔 임금근로자는 62.3%로 이들의 평균 근속기간은 평균 1년3개월이었다. 그만둔 사유는 보수나 근로시간 등 ‘근로여건 불만족’이 47.0%로 가장 많았다.

첫 일자리의 형태는 계약기간을 정하지 않았으나 계속 근무할 수 있는 일자리가 62.1%로 가장 많았다.

산업별 취업 분포를 보면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41.9%, 도소매·음식숙박업 24.1%, 제조업 17.5% 순이었다.

◇ 연금수령액 42만원…평균 15년4개월 근속

고령층(55~79) 인구는 1천137만8천명으로 경제활동참가율은 55.1%, 고용률은 53.9%였다.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에서의 평균 근속기간은 15년4개월(남 19년, 여자는 11년7개월)로 1년전보다 6개월 줄었다. 근속기간이 30년 이상인 사람의 비중은 15.4%였다.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둘 당시 연령은 평균 49세로 남자 52세, 여자 48세다.

일자리를 그만둔 이유는 사업부진·조업중단·직장휴(폐)업이 34.7%로 가장 많았다. 이를 제외하면 남자는 권고사직·명예퇴직, 여자는 가족을 돌보기 위해서가 가장 많았다.

이들 중 1년간 구직경험이 있는 사람은 15.3%로, 주요 구직경로는 친구나 친지에게 소개를 부탁하는 방식이었다. 지난 1년간 취업경험이 있는 사람은 61.9%였다.

최근 1년간 연금 수령자 비율은 45.7%(519만8천명)로 월 평균 연금 수령액은 42만원이었다.

연금수령액은 10만~25만원 미만이 39.3%로 가장 많았다. 10만원 미만 수령자 비중은 21.2%였고 150만원 이상수령자는 7.6%였다.

장래 근로를 희망하는 고령층 인구는 62.0%로 10명 중 6명꼴이었다. 근로를 희망하는 사람들의 평균 연령은 72세였다.

근로 희망 사유는 생활비에 보탬을 주고 싶어서가 54.0%로 가장 많았다. 일하는 즐거움도 38.8%를 차지했다.

희망하는 일자리 형태는 전일제가 66.5%, 시간제는 33.5%였다.

희망 월평균 임금수준은 100만~150만원이 31.9%로 가장 많았고 150만~300만원 미만 29.6%, 50만~100만원 미만 21.8% 등 순이었다.

고령층 취업자의 산업별 분포는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이 33.5%로 가장 높았다.

직업별로는 단순노무종사자 26.7%, 기능·기계조작 종사자 21.0%, 서비스·판매종사자 20.6% 등 순이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