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수출 498억달러…역대 두번째 월간 최대실적

3월 수출 498억달러…역대 두번째 월간 최대실적

입력 2014-04-01 00:00
수정 2014-04-01 11: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對日 수출 증가세 반전…선진국 경기회복세 타고 ‘순항’

엔화 약세(엔저),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등의 대외 악재 속에서도 지난달 우리나라 수출이 탄탄한 성장세를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수출이 작년 같은 달보다 5.2% 증가한 497억6천30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1일 발표했다.

이는 2013년 10월(504억8천만 달러)에 이어 역대 두번째로 많은 월간 수출실적이다.

하루 평균 수출액은 21억6천만 달러로 2.9% 증가했다.

올해 1월 수출증가율이 -0.2%를 기록하며 출발이 좋지 않았으나 2월 1.5%에 이어 3월에는 5%선을 넘어서는 등 점점 탄력이 붙는 모양새다.

수입은 455억7천100만 달러로 3.6% 늘었다. 무역수지는 41억9천200만 달러 흑자로 26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유지했다. 올해 1∼3월 누적 흑자는 58억7천700만 달러다.

무선통신기기(수출증가율 32.1%)와 반도체(14.0%) 등 정보통신(IT) 제품의 선전이 지속하는 가운데 자동차(15.9%), 선박(18.7%) 등 주력 품목의 수출도 호조를 보였다.

반면에 LCD(-10.4%), 석유화학(-5.0%), 석유제품(-3.5%), 일반기계(-0.1%) 등은 수출단가 하락과 수요 감소 등으로 다소 부진한 모습이었다.

지역별로는 경기회복에 속도가 붙은 선진국으로의 수출 확대가 두드러졌다.

특히 일본으로의 수출(1.1%)이 작년 1월 이후 처음으로 증가세로 반전한 게 눈에 띄는 부분이다. 기저효과가 일부 작용하긴 했지만 철강·일반기계·반도체 등 주력 품목의 수출 호조가 크게 기여했다고 산업부는 평가했다.

유럽연합(EU)으로의 수출(15.2%)도 3개월 연속 두자릿수 증가율을 보였고, 한파 등으로 1∼2월 부진했던 대미 수출(17.0%) 역시 완전한 회복세를 띠었다.

EU에서는 산업기계·선박류·반도체·석유제품 등이, 미국에서는 가정용 전자제품·자동차·무선통신기기 등이 잘 팔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13.9%), 중국(4.5%), 중동(4.3%)에 대한 수출도 건실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지역별 수출 비중은 중국이 25.3%로 압도적으로 높았고 아세안 16.9%, 미국 11.3, EU 9.3%, 일본 5.6% 등의 순이었다.

수입 측면에서는 자본재(9.3%), 소비재(16.3%)가 전체 수입 증가를 이끌었다.

5대 수입품목을 보면 가스(4.9%)와 원유(0.4%)는 증가한 반면에 철강(-1.9%), 석탄(-14.6%)은 감소했다. 석유제품은 변동이 없었다.

산업부는 “우크라이나 사태, 일본 소비세 인상, 미국 양적완화 축소 등 일부 부정적 요인이 있지만 선진국 경기회복이 본격화할 경우 우리 수출이 2분기에도 탄탄한 성장을 보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