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키코 같은 고위험군 3배↑ 위험파생상품 급증… ‘꼬리 리스크’ 커졌다

키코 같은 고위험군 3배↑ 위험파생상품 급증… ‘꼬리 리스크’ 커졌다

입력 2014-01-28 00:00
업데이트 2014-01-28 09: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환율변동 따라 손익 변화

‘키코’(KIKO)처럼 환율 변동에 따라 손익이 달라지는 위험파생상품의 거래가 최근 크게 늘었다. ‘꼬리 위험’(테일 리스크)이 커지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는 경고가 나왔다.

이미지 확대
박종열 한국은행 분석기획팀장은 27일 내놓은 ‘비정형 통화파생상품 시장의 최근 동향 및 평가’ 보고서에서 비정형 통화파생상품의 거래 잔액이 지난해 6월 말 현재 39조 8000억원이라고 밝혔다. 2012년 말에 비해 52.5%(13조 7000억원)나 증가했다. 비정형 파생상품이란 특정 환율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파생상품(정형)과 달리 환율 변동 구간을 열어 놓는 것이 특징이다. 환율을 고정시키지 않는 만큼 위험회피(헤지) 비용이 적게 든다. 대신 환율이 어떻게 될지 몰라 위험도는 올라간다. 특정 구간의 환율을 정해 놓고 이 범위를 벗어나느냐 벗어나지 않느냐에 따라 이익이나 손해를 보도록 설계한 키코 상품이 대표적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와중에 키코 사태까지 터지면서 이런 위험파생상품의 거래가 눈에 띄게 줄었으나 지난해부터 다시 늘기 시작했다는 게 박 팀장의 분석이다. 가격 변수가 하향 안정세를 보인 데다 헤지비용 절감, 고수익 추구 등의 수요가 결합하면서 외국은행 국내 지점을 중심으로 취급액이 급증했다는 설명이다. 특히 이들 상품의 절반 가까이(41.4%)는 자체 헤지 상품이어서 기초자산 가격이 급변하면 손실이 눈덩이처럼 커질 수 있다. 게다가 키코처럼 ‘고위험군’으로 분류되는 상품 잔액이 2조 8000억원에서 8조 7000억원으로 3배 불어난 점도 부담스러운 대목이다.

다만 거래규모 자체가 그렇게 크지 않고 키코 때와 달리 중소기업 가입 비중이 낮아 아직까지는 시장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서는 보고 있다. 지난해 6월 말 현재 위험파생상품의 42.7%는 대기업이 취급하고 있다. 증가세를 봐도 대기업의 거래 잔액이 2012년 말 5조 7000억원에서 2013년 6월 말 9조 5000억원으로 가장 많이(3조 8000억원) 늘었다. 중소기업은 같은 기간 1조 3000억원에서 3조 7000억원으로 2조 4000억원 증가에 그쳤다.

박 팀장은 “비정형 파생상품은 다양한 거래 구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금융시장 활성화에 긍정적인 측면이 있으나 글로벌 금융위기처럼 예상치 못한 외부 충격이 발생하면 위험전이 통로로 작용할 수 있다”면서 “‘꼬리 위험’이 몸통을 흔들 수 있는 만큼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금융시장에 미치는 파급효과 등에 면밀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미현 기자 hyun@seoul.co.kr
2014-01-28 4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