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가계 신용위험 2003년 이후 ‘최악’

가계 신용위험 2003년 이후 ‘최악’

입력 2013-01-04 00:00
업데이트 2013-01-0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은 “채무상환능력 더 떨어져” 은행대출 문턱도 5년來 ‘최고’

경기 침체에 수도권 집값이 떨어지면서 가계의 신용위험이 2003년 카드 사태 이후 최고 수준으로 높아졌다. 이에 따라 은행들의 대출 문턱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아질 전망이다.

한국은행이 3일 16개 시중은행을 대상으로 올해 1분기 대출행태를 조사한 결과, 가계의 신용위험지수는 34로 나타났다. 카드 사태가 터졌던 2003년 2~3분기(44) 이후 가장 나쁘다. 글로벌 금융위기 때(2008년 4분기~2009년 4분기)인 25보다도 높다.

한 자릿수대였던 가계의 신용위험지수는 지난해 2분기 22로 높아지더니 3분기 28, 4분기 31 등으로 계속 오르고 있다. 한은 측은 “다중채무자 등 취약계층의 채무상환능력이 떨어지는 것에 대한 우려가 심화됐다”고 설명했다. 기업의 신용위험도 악화돼 대기업은 13, 중소기업은 34를 기록했다.

신용위험이 높아짐에 따라 은행의 대출태도는 더 보수적이 됐다. 은행의 대출태도지수는 지난해 4분기 2에서 올해 1분기에 -2로 바뀌었다. 2009년 4분기(-4) 이후 3년여 만의 마이너스 전환이다. 대출태도지수가 마이너스라는 것은 대출을 늘리겠다는 응답보다 줄이겠다는 응답이 많은 것을 뜻한다. 중소기업(-3)은 물론 대기업(-6)에 대한 대출도 줄이겠다는 응답이 많았다. 은행들이 대내외 여건의 불확실성으로 위험관리에 치중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반면 대기업 대출 수요는 유동성 확보를 이유로 전분기(6)보다 대폭 높아진 16을 기록했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2013-01-04 17면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