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간 농어촌 오지서 우체부 역할 이젠 필요없다고 내치지 말았으면…”

“50년간 농어촌 오지서 우체부 역할 이젠 필요없다고 내치지 말았으면…”

입력 2012-09-01 00:00
수정 2012-09-01 00: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일 별정우체국 출범 50주년 맞은 한병천 중앙회장

“지난 50년과 마찬가지로 국가 우정사업을 돕기 위해 산간 오지에서 우체부의 역할을 다하겠습니다. 다만 이제 필요없다고 내치는 일은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한병천(60) 별정우체국중앙회장은 별정우체국 출범 50주년 기념식(1일 충남 천안 지식경제부 공무원연수원)을 앞두고 31일 할 말이 많은 듯한 모습이었으나 말을 아꼈다. 1961년 8월 정부의 ‘1면 1우체국’ 정책에 따라 민간인 신분에서 우체국 건물을 제공하고 소수의 직원들을 고용해 묵묵히 우편 배달 등을 해 온 게 별정우체국장들이다. 현재 우정사업본부 산하 전체 우체국 2751곳 중 766곳(28%)이 별정우체국이다. 그러나 열악한 임금 구조, 구조조정 압력 등이 오지의 우체부들을 힘들게 한다.

이미지 확대
한병천 별정우체국중앙회장
한병천 별정우체국중앙회장
→생소한 별정우체국은 어떤 제도인가.

-1960년대 근대화 시기에 정부가 관리할 수 없는 산간 오지에서 지역 인사들이 법령에 따라 만들어 우편업무를 수행해 오고 있다. 반세기를 하루같이 주민과 국가를 위해서 일해 왔다고 자부한다. 우편과 금융, 보험업무 등은 우정본부의 직영 우체국과 차이가 없다.

→그동안의 성과와 사연은.

-중앙회 설립 당시인 1980년에 2만여명이던 직원이 지금 5000여명으로 줄었다. 편지를 배달하는 우체부들은 이미 오지와 낙도 주민들과 한몸처럼 생활하고 있다. 전국 단위 조직이기 때문에 한때 지역 국회의원들에게는 중요한 표밭이고 민심의 가늠자이기도 했다. 솔직히 그때는 우체국장의 인기가 좋았다. 시대가 흐르니 지금은 찬밥이다.

→구체적인 애로 사항은.

-낡은 우체국 시설을 개·보수할 때 민간인 우체국장이 사재를 털어 애쓰는 점, 한국통신 분리·집배원 광역화 등 우정업무 관련 정부의 조치, 직원들이 실수만 하면 무슨 비리의 온상인 것처럼 몰아붙이는 점 등이 우리를 힘들게 한다. 나랏일을 하는데 공무원만큼이라도 소모성 비용에 대한 지원을 늘려 달라.

→정부의 경영 합리화 방안에 대한 견해는.

-정부는 별정우체국 경영 합리화를 적자 구조 개선에 두고 있다. 그러나 농어촌 오지의 경우 가구 수가 적고 넓게 분포돼 있어 배달 거리가 도시보다 훨씬 길다. 공공성을 인정해 달라.

→별정우체국의 자구책과 비전은.

-쌀, 배, 사과, 곰취, 김 등 지역 특산품을 우편 주문 상품 계약업체로 묶어서 우편요금만 받고 도시 지역으로 배송하고 있다. 품질이 좋고 저렴하기 때문에 인기가 좋다. 수익 사업을 통해 우체부들의 처우 개선에 노력하겠다. 도시 별정우체국 설립도 추진해보겠다. 선출직인 중앙회장이 더 열심히 뛰겠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2012-09-01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