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륙을 질주하는 한국기업] SK

[대륙을 질주하는 한국기업] SK

입력 2012-08-20 00:00
수정 2012-08-20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中에 또 하나의 SK”… 작년 20% 성장

1994년 3월 9일 오전 9시. 중국 베이징 중난하이(中南海) 접견실에서 고 최종현 SK그룹 회장이 한국 기업인으로는 처음 중국 최고지도자를 만났다.

이미지 확대
최태원(왼쪽) SK그룹 회장이 지난 2월 하이닉스 중국 공장을 방문해 현미경으로 반도체 회로를 살펴보고 있다. SK그룹 제공
최태원(왼쪽) SK그룹 회장이 지난 2월 하이닉스 중국 공장을 방문해 현미경으로 반도체 회로를 살펴보고 있다.
SK그룹 제공
2년 전 한·중 수교 과정에서 최 회장과 SK가 수교의 민간 창구 역할을 한 것을 높이 평가한 장쩌민(江澤民) 주석이 먼저 만든 자리였다. 장 주석을 만난 최 회장은 외국 기업의 중국 투자에 대한 평소 생각을 털어놓았다.

19일 SK에 따르면 SK는 1992년 8월 24일 한·중 수교 이전인 1988년 수교 준비 단계부터 깊이 관여해왔다. 정부가 공식 라인 외에 민간 라인으로 SK의 네트워크를 활용했기 때문이다.

장 주석을 만난 최 회장은 “중국에 진출한 외국 기업은 중국에서 단기적으로 이익을 추구해선 안 될 것”이라면서 “중국은 외국이 아니라 확장된 하나의 시장이기 때문에 SK는 중국에서 번 돈을 중국에 재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 회장이 강조한 중국과 함께 발전한다는 뜻의 ‘차이나 인사이더’ 전략은 지금도 SK 중국 사업의 기본 철학으로 자리 잡고 있다.

SK가 중국 사업에서 승승장구한 것만은 아니다. SK는 1990년대 초 중국 선전(深玔)에 10억 달러 규모의 정유단지 건설을 추진한 바 있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에너지 관련 부문은 국가전략 산업이라는 이유로 비준을 꺼렸고, 결국 사업은 수포로 돌아갔다.

그렇지만 SK는 중국 사업에 대한 도전을 멈추지 않았다. 한국과 가까운 데다 대규모 내수 시장을 갖고 있는 중국은 글로벌 사업의 열쇠라는 판단 때문이었다. 특히 부친의 뜻을 이어받은 최태원 SK 회장은 중국에 ‘또 하나의 SK 건설’을 모토로 그룹 차원의 역량을 쏟아부었다.

이에 따라 SK는 2010년 그룹의 중국 사업을 총괄지휘하기 위해 새로운 조직으로 ‘SK차이나’를 출범시켰다. SK차이나는 우선 20년간 계열사별로 각각 분산·추진해 오던 중국 사업 의사결정 구조와 역량을 하나로 결집해 실행력을 높였다. 중국 사업과 관련한 대부분의 의사 결정을 중국 현지에서 완결될 수 있게 했다. 이 같은 변신을 통해 2011년 SK의 중국 사업 매출액은 약 280억 위안(약 5조원)을 달성하며, 전년 대비 20% 이상의 성장을 기록했다.

하이닉스반도체를 인수한 SK는 향후 시스템반도체 사업을 SK의 차세대 성장동력 중 하나로 육성할 계획이다. 실제 하이닉스 우시(無錫) 공장은 지난해 하이닉스 전체 D램 매출인 67억 달러의 절반을 차지해 SK 중국 사업 확대의 교두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홍혜정기자 jukebox@seoul.co.kr

2012-08-20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