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관계 냉각…FTA협상에도 악영향 미치나

한일 관계 냉각…FTA협상에도 악영향 미치나

입력 2012-08-16 00:00
수정 2012-08-16 16: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외교 갈등 이유로 협상 중단은 쉽지 않을 듯

한국과 일본 관계가 냉각되면서 ‘관세 없는 무역자유화’ 노력에도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지 주목된다.

양국 간 자유무역협정(FTA) 추진은 한일 양자 FTA와 중국이 포함된 한·중·일 FTA 두 가지로 나눠 진행되고 있다.

양자 FTA는 2003년부터 2년간 6차례 협상하다 깨지고서 2010년 국장급, 올해 과장급 실무협의로 격을 낮춰 여건조성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한·중·일 FTA는 작년 산관학 공동연구를 종료하고서 협상 개시선언을 위한 실무협의 단계에 있다.

이명박 대통령과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일본 총리는 지난 5월 14일 베이징(北京)에서 열린 ‘제5차 한중일 정상회의’에서 3국 간 FTA 협상을 연내에 개시하기로 하는 공동선언문을 채택한 바 있다.

이달 들어 한일 관계가 급속히 악화했지만 두 FTA에 대한 일본 측 공식 입장은 아무것도 없다.

김영무 통상교섭본부 FTA정책심의관은 “오는 21일 중국 칭다오(靑島)에서 한중일 FTA실무협의회가 열릴 예정이지만 일본에서 아직 어떤 연락도 받지 못했다”고 16일 말했다.

회의가 임박한 상태라 일본이 한국과의 FTA를 정치갈등과 연계해 불참할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

한일 FTA는 일본측이 재협상을 요청한 사안이다. 농업개방 수위, 비관세 장벽 등을 놓고 첨예한 의견 대립으로 협의가 지지부진하지만 양국 간 FTA의 중요성을 잘 인식해서다.

김 심의관은 “중국이라는 변수 때문에 한·중·일 FTA도 일본이 섣불리 깨뜨릴 수는 없을 것”으로 판단했다. 동북아 경제권의 창설이라는 3국 간 FTA의 대의 측면에서 볼 때 일본이 3국 FTA에서 빠진다는 생각을 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일본은 불편해진 한국과의 관계를 이유로 FTA 협상을 당장 중단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한일 관계의 냉각 상태가 심화하거나 장기화하면 일본이 한국과의 양자 FTA보다는 한·중·일 3국 FTA에 무게를 둘 가능성은 있다.

통상교섭본부의 또 다른 관계자는 “협상 자체가 꼬인 양자 협상보다는 중국이라는 매개체가 있는 한·중·일 FTA가 일본으로서는 편할 수 있다”면서 “우리는 어느 쪽도 상관없다”고 말했다.

한일 FTA든, 한중일 FTA든 아쉬운 건 일본이라는 게 통상교섭본부의 인식이다.

연합뉴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3일 서울글로벌센터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주한 카타르 대사 등 각국 외교관과 홍콩투자청 등 해외 투자 기관 관계자 및 자본가들이 참석해 서울투자진흥재단의 성공적인 출발을 기원했다. 김 의원은 재단의 출범을 위한 준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공식 기관 명칭이 ‘서울투자청’이었으면 좋았겠지만, 오늘 출범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라며 소회를 밝혔다. 그는 세계 도시 경쟁력 6위인 서울의 잠재력을 언급하며 “서울투자진흥재단이 세계가 서울로 향하는 길에 든든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김 의원은 재단이 이사장 이하 구성원들의 풍부한 경험과 인베스트서울의 선험적 경험을 바탕으로 K-금융과 K-뷰티 산업의 글로벌 투자 유치 플랫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실질적인 성과물을 만들어낼 것을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재단 고위 관계자로부터 재단의 오늘이 있기까지 그간의 김 의원 역할에 감사를 표한다는 전언을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