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전망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국제사회의 대(對)이란 제재로 한국 수출이 최대 37억 달러의 차질을 빚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4일 ‘국제사회의 이란 경제 제재 의미와 영향’이라는 보고서를 내고, 이란산 원유 수입이 중단되면 수출대금 결제 문제가 부각되면서 최대 37억 달러의 수출 차질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지난해 우리나라 무역흑자가 300억 7000만달러인 것을 감안하면, 약 13%에 이르는 규모다.우리 정부는 이란에서 들여오는 원유 수입대금을 국내 은행의 무역대금 결제용 계좌에 넣었다가 이를 국내 기업의 이란 수출대금으로 빼주는 원화결제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이란 원유 수입이 중단되면 결제용 계좌의 돈이 떨어지고, 수출대금 결제도 불가능해지는 상황이 온다. 지난해 기준으로 전체 수출대금 중 약 61%는 수입 원유대금으로 결제된 것으로 분석된다.
허인 KIEP 국제금융팀 연구위원은 “이란은 석유 수출 이외의 산업 기반을 갖추고 있고 향후 성장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우리나라가 이번 제재에 동참할 경우 경제 단절로 인한 기회비용이 높다.”며 “수출대금 결제수단을 확보하고 대체 수출지역을 발굴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2012-07-05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