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도 2배로 늘리기로
정부는 해외 물시장 공략을 위해 총 15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고 2017년까지 물산업 수출 규모를 60억 달러(약 7조원)로 늘릴 방침이다. 또한 10% 수준인 재이용률을 2020년까지 30%로 늘려 ‘제3의 물산업’으로 육성하기로 했다.정부는 23일 오후 정부중앙청사에서 김황식 국무총리 주재로 ‘제18차 녹색성장위원회 및 제9차 이행점검결과 보고대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물산업 육성방안을 결정했다. 물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범정부 차원의 플랫폼 구축과 물 전문펀드 조성, 물전문대학원 설립도 추진하기로 했다. 관계부처 합동으로 상하수도와 담수 플랜트 사업 진출을 지속하되 향후 유역관리와 친수구역 개발 등 통합 물관리 시스템 수출에도 중점을 두고 해외시장 진출을 꾀한다는 방침이다.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3대 핵심 수처리 기술과 통합 하천관리, 수생태 복원기술, 지능형 물관리 기술 등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2017년까지 현재 700억원 수준인 투자 비용도 두 배 늘리기로 했다. 아울러 금융지원 강화와 대·중소기업, 민관이 협력하는 물산업 생태계 구축 등을 추진하는 한편 전문인력 양성에도 적극 노력하기로 했다.
특히 아시아권 물시장 공략을 위해 1500억원 규모의 아시아 워터펀드를 조성해 상하수도, 해수 담수화, 산업용수, 물재이용 기술 등의 해외진출 투자 기금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이 밖에 물산업 해외진출 통합 플랫폼을 구축해 통합정보를 제공하고 국내 물기업 기술력 홍보 등 물시장 진출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유진상기자 jsr@seoul.co.kr
2012-05-24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